대구시가 역점사업으로 추진한 연구개발(R&D) 특구가 특구에 포함될 산업단지 입주업체들의 반발 등으로 당초 계획한 면적보다 60%가량 축소돼 특구 지정 효과 반감이 우려되고 있다.
대구시는 최근 대구테크노폴리스를 비롯해 성서첨단산업지구, 융합R&D지구, 의료R&D지구, 지식서비스R&D지구 등을 포함한 총 22㎢를 대구R&D특구로 확정, 지식경제부에 R&D특구 변경 신청안을 제출했다. 특구 면적은 대구가 18㎢, 경북 경산이 6㎢다.
시는 당초 R&D 특구 면적을 54㎢로 계획했다. 여기에는 성서1·2차산단 전체는 물론 성서 3차산단중 1·2차 지구와 달서구 월성동 출판문화단지, 경산 1~4차산단 등이 포함됐다. 하지만 해당 산단의 업체 반발로 모두 제외돼 특구 면적이 22㎢로 60%가량 축소됐다.
업체들이 반발한 것은 '특구 지정에 따른 혜택보다 규제가 더 많다'는 판단 때문이다. 해당 산단에는 유해물질 배출업체들이 많은데 특구로 지정되면 공장 증설이 불가능해지는 등 어려움이 있다는 게 이들의 설명이다. R&D특구로 지정되면 매년 500억~600억원의 기술사업화 용도의 R&D자금이 지원되는데 이를 사용할 업체 대부분이 이번에 특구에서 빠진 성서산단에 위치해 있어 기술사업화 적용에 어려움이 클 것으로 보인다. .
이에 대해 대구시 오준혁 과학산업과장은 "5년마다 수립되는 특구 육성종합계획에 추가 수요 발생을 반영해 특구 범위를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변경안 신청에 따라 대구R&D특구는 관련 부처 협의 및 연구개발특구위원회 심의를 거쳐 이달중 지정ㆍ고시될 전망이다.
한편 대구시가 밝힌 대구R&D특구 육성계획을 보면 연구개발 인프라 조성 및 기술사업화 추진을 위해 2015년까지 5년간 1단계로 5,024억원의 사업비가 투자되고 이어 2025년까지 약 1조5,000억원이 추가 투자된다.
대구시는 대경권 선도산업(IT융복합, 태양광 등) 및 지역 전략산업(모바일, 메카트로닉스, 자동차부품, 디스플레이 등)과 연계한 융복합 신기술을 중심으로 신규창업형-혁신기업형-기관연계형 그룹으로 각각 나눠 자금 등을 지원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특구 내 기업과 R&D기관을 중심으로 '연구개발-기술이전-사업화-재투자'로 이어지는 패키지 형태 지원을 위해 대구테크노폴리스에 대구특구이노비즈센터가 건립되고, 특구지원본부도 설립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