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외국인 임대주택 사업 Tip

계약 맺은 해 소득세에 합산 과세 ▦외국인 근로자 임대주택의 소득세=외국인 임대주택 사업의 경우에도 임대수익에 대해 임대소득세가 부과된다. 보통 2~3년 단위로 계약을 체결하고, 계약시 임대료를 한꺼번에 지급하는 게 보통이라 임대인은 계약 체결 당해년도에 임대소득세가 임대인의 소득세에 누적돼 합산 과세된다. 우선 1가구 1주택자와 1가구 2주택자라도 두 채 모두 전용85㎡(국민주택)이하일 경우 제외되며 2채 중 1채라도 전용85㎡를 초과한다면 부과대상이 된다. 1가구 3주택은 주택형과 관계없이, 1가구 1주택자라도 공시지가가 6억원 초과 주택일 경우 부과대상이 된다. 월세×100×0.5%가 기준 ▦부동산 수수료=외국인 부동산 수수료는 월세에 100을 곱한 후 0.2~0.8% 사이에서 책정되며, 일반적으로는 0.5%가 기준이다. 간혹 0.8%나 월세x계약기간(월)x3%의 수수료를 적용하는 경우도 있으며, 일반적으로 AS나 중도해지수수료 반환조항이 없을 경우는 국내부동산과 동일한 수준. 국내부동산과 다른 것은 계약기간동안 외국인과 주택에 관련된 의사소통과 하자보수를 대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계약연장시 수수료를 다시 청구하고 중도해지시에는 되돌려주는 경우가 있다. 원화·달러 모두 계약 가능 ▦임대계약금은 원화? 달러?=외국인 임대 계약기간은 보통 2~3년이며 계약기간동안의 월세를 한꺼번에 지급하는 게 보통. 이때는 원화와 달러 모두 계약이 가능하며, 이때 많게는 20만원까지 환율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외국인 전문 부동산의 경우 임대인에게 유리한 조건으로 조언하는 게 일반적이다. 가구·가전등 평균 비용 350만원선 ▦외국인 임대주택에 필요한 생활 용품=미군을 상대로 한 임대의 경우 구비 가구로는 7자 장롱ㆍ1+3인용 소파와 탁자ㆍ4인용식탁ㆍ책상ㆍ침대와 협탁ㆍ1,500mm TV받침대ㆍ5단서랍장ㆍ전신거울 등이며, 구비 가전으로는 미군임대시 구비가전은 세탁건조기(10kg)ㆍ냉장고(540L이상)ㆍ오븐레인지 등이다. 평균 소요 비용은 350만원 선. 보통 3.3㎡당 1만원 임대인이 부담 ▦관리비=관리비는 일체 임대인이 부담하게 된다. 보통 3.3㎡당 1만원으로 책정되며, 이와는 별도로 인터넷ㆍ케이블ㆍ생수 비용 약 5만~7만원 선이 추가로 들어가는 비용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