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오일게이트 수사 '몸통' 정조준

검찰, 李의원 집등 압수수색 <BR>김세호씨등 핵심 5명 사법처리 끝내고<BR>청와대·정치권등 개입여부로 칼날겨눠

이광재 열린우리당 의원의 한 보좌관이 9일 검찰의 전격 압수수색을 받자 황급히 사무실 문을 열고 들어가고 있다. /고영권기자

오일게이트 수사 '몸통' 정조준 검찰, 李의원 집등 압수수색 김세호씨등 핵심 5명 사법처리 끝내고청와대·정치권등 개입여부로 칼날겨눠 이광재 열린우리당 의원의 한 보좌관이 9일 검찰의 전격 압수수색을 받자 황급히 사무실 문을 열고 들어가고 있다. /고영권기자 철도공사 유전의혹 사건에 대한 검찰의 수사가 청와대ㆍ정치권 등 전방위로 치닫고 있다. 해외도피 중인 석유 전문가 허문석씨를 빼고 지난달 12일 감사원이 수사 의뢰한 김세호 전 건교부 차관 등 핵심 인물 5명에 대한 사법처리를 사실상 끝내고 이제 국민적 의혹의 핵심인 청와대와 정치권으로 수사 반경을 확대하고 있는 것. 검찰은 9일 왕영용(구속) 철도공사 사업개발본부장이 지난해 8월31일 유전사업을 보고했다고 밝힌 청와대 행정관을 소환해 경위 등을 집중 조사했다. 또 이광재 의원 선거참모 지모씨가 유전사업을 주도한 전대월(구속) 하이앤드 대표로부터 8,000만원을 수수한 혐의를 포착하고 지씨를 전격 체포하는 동시에 이 의원의 주거지와 사무실을 압수수색했다. 그동안 청와대는 철도공사가 유전사업에서 손을 뗄 즈음인 지난해 11월 국정상황실을 통해 상황만 파악했을 뿐 사업 추진과정을 인지하지 못했다고 말했었다. 청와대는 이날 왕씨의 8월 사업보고 사실은 검찰에 통보한 사안이라며 일축했지만 유전사업이 단순한 철도공사의 투자 실패 케이스가 아닌 청와대의 후원 및 개입 속에 진행됐을 수 있음을 시사하는 대목이다. 청와대가 적극적으로 개입하지 않았더라도 사업 초기인 지난해 8월 철도공사가 직역과 무관한 유전사업에 뛰어든 것을 알고도 묵인했다는 의구심은 여전히 남는다. 검찰이 왕씨가 보고한 청와대 김모 행정관을 이날 전격 소환해 보고내용이 어느 선까지 어떤 식으로 청와대에 전달됐는지 여부를 집중 조사한 것도 이 같은 맥락이다. 이와 함께 검찰은 전 대표로부터 지난 4월 총선을 전후해 8,000만원을 수수한 혐의로 이 열린우리당 의원의 선거참모 지씨를 전격 체포하면서 수사의 칼날은 이 의원 쪽으로도 가해지고 있다. 아직 지씨가 받았다는 돈이 이 의원에게 전달됐는지 여부는 밝혀지지 않았지만 이 의원측이 유전사업 주도인물인 전씨와 금전관계에 있었다는 연결고리가 나타나면서 의혹은 더욱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그동안 이 의원은 지난해 6월 자신을 찾아온 전씨를 석유 전문가 허씨에게 연결해준 일이 있을 뿐 이번 사건과 무관하다고 주장해왔지만 왕씨가 사업추진 과정에서 이 의원 이름을 거론한 점 등에서 이 의원의 개입의혹이 명쾌하게 해소되지 않았다. 전씨의 진술이 사실이라면 전씨는 이 돈을 빌미로 이 의원에게 유전사업과 관련해 힘을 써달라고 부탁했을 수 있다는 추론이 가능하다. 더욱이 이 의원이 지씨를 통해 전씨를 알게 된 것으로 알려져 검찰 수사는 우선 지씨의 금품수수 여부와 함께 이 의원이 그 사실을 알고 있었는지 여부를 밝히는 데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 검찰은 그동안 국민적 의혹의 핵심인 청와대 개입 여부, 이 의원측의 불법자금 수수 의혹과 철도공사에 대한 유전사업 압력 여부를 조사한다는 방침이다. 한편 검찰은 이날 긴급체포 상태인 김 전 건교부 차관과 구속영장이 청구된 신광순 전 철도공사 사장을 상대로 정치권 인사로부터 유전사업에 참여하라는 취지의 권유 내지 압력을 받았는지를 조사했다. 이병관 기자 comeon@sed.co.kr 입력시간 : 2005-05-09 18:09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