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5월 26일] '北 리스크' 대책 세우고 과민반응 삼가야

금융시장이 25일 패닉에 빠진 것은 천안함 사태와 관련한 지정학적 리스크에 따른 충격이 예상보다 크다는 점을 보여준다. 대북제재와 남북관계 경색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는 전망과 달리 대형 악재로 작용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 만큼 훨씬 더 치밀하고 효과적인 리스크 관리대책이 중요해졌다. 국내증시와 외환시장은 이날 북한군의 전투태세 돌입 소식 등 남북관계 악화의 직격탄을 맞아 폭락했다. 코스피지수는 장중 한때 72%포인트(4.5%) 이상 하락하며 1,530선대로 밀려나고 코스닥지수는 8% 넘게 떨어지기도 했다. 원ㆍ달러 환율은 장중 60원 이상 치솟아 1,270원을 돌파하는 급등세를 보였다. 이 같은 주가급락과 환율급등은 전일 스페인 정부의 부실 저축은행 인수 등 남유럽 악재 지속에 따른 미국과 유럽증시 하락의 영향도 있지만 남북대치에 따른 긴장고조가 더 크게 작용했다. 북한이 전군에 전투태세 돌입 명령을 내렸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시장은 급격하게 얼어붙으며 패닉에 빠져든 것이다. 외국인들은 이날도 주식을 대거 내다팔아 하락폭을 키웠다. 남유럽 위기로 인한 안전자산 선호현상에다 우리의 안보 리스크까지 겹치면서 외국인들의 주식 매도세가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결국 금융시장 안정을 위해서는 투자자들, 특히 외국인들의 불안감을 진정시키는 게 중요하다. 남북대치의 파장이 단기간에 해소되면 좋겠지만 북한의 반응을 보면 당분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우리와 국제사회의 제재조치가 하나하나 실행에 옮겨질 때마다 북한이 공갈 협박을 할 가능성이 높고 그때마다 금융시장은 출렁일 우려가 있다. 따라서 적극적인 대책으로 상황관리를 해야 한다. 무엇보다 북한이 추가 도발 등 사태를 더 이상 악화시키지 않도록 우리의 대비태세에 만전을 기해야 하고 외교적 노력도 강화해야 한다. 또 시장의 움직임을 예의주시하면서 필요한 조치를 적시에 취해야 한다. 외국인 투자가들에 우리 경제의 펀더멘털과 외환사정을 정확히 설명하고 홍보를 강화하는 것도 필요하다. 아울러 국내 시장참여자들도 과민반응을 자제해야 한다. 지나친 불안감으로 부화뇌동하면 시장 분위기는 더욱 악화될 뿐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