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김윤규 복귀 안시키면 현대와 사업 재검토"

北 아태평화위 담화…개성관광 제3자와 사업 시사도

"김윤규 복귀 안시키면 현대와 사업 재검토" 北 아태평화위 담화…개성관광 제3자와 사업 시사도 김홍길 기자 what@sed.co.kr 김병기기자 bkkim@sed.co.kr 관련기사 • "구체적인 문제는 당사자간 풀어야" • 현대 對北사업 올스톱 위기 • "대북사업 1천여개사 부도·중도 포기" • 北, '현대 담화' 사전통보 배경은 북한이 현대그룹과의 모든 대북사업을 전면 재검토할 것이라고 공식적으로 밝혔다. 북한은 특히 현재 진행 중인 개성관광 사업에 대해 현대의 사업자 자격에 의문을 제기하며 제3의 기업과 협의할 수 밖에 없음을 밝혀 파문이 일고 있다. 20일 북한의 조선아시아태평양평화위원회(아태평화위)는 대변인 담화를 통해 "김윤규 전 현대아산 부회장 퇴출은 현대와 북한간의 신의를 저버리고, 김정일 국방위원장에 대한 배은망덕"이라며 "현정은 회장이 김정일 위원장을 만나 개성과 백두산관광 독점권을 받았는데 돌아가자마자 야심가들의 충동을 받아 함께 접견했던 김 전 부회장을 따돌리고 그의 목까지 뗀 데 대해 심한 배신감을 넘어 분노를 금할 수 없다"고 말했다. 북한이 공식적으로 현대와의 대북사업 전반에 대해 재검토 의사를 표명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아태평화위는 이어 "이제는 현대가 본래의 실체도 없고 신의도 다 깨버린 조건에서 그전과 같은 우리의 협력대상으로 되겠는가 하는 문제가 제기됐다"며 "현대와의 모든 사업을 전면 재검토하고 재조정하지 않을 수 없게 됐다"고 말했다. 아태평화위는 또 "지금 일정에 올라있는 개성관광에 대해 말한다 해도 현대와는 이 사업을 도저히 할 수 없게 됐으며 부득불 다른 대상과 관광협의를 추진해 나갈 수밖에 없게 됐다"고 밝혀 김 전 부회장 복귀 여부와 무관하게 개성관광 사업을 제3자와 진행할 것임을 강하게 시사했다. 아태평화위는 이번 담화를 통해 현대그룹의 대북사업 독점권 주장에 대해서도 "지난 2000년 8월에 현대측이 우리와 체결한 '7대 협력사업합퓬?라는 것도 해당한 법적 절차와 쌍방 당국의 승인을 전제로 하고 있고 필요에 따라 수정 보충하거나 다시 협의할 수도 있게 돼 있다"며 "합의의 주체도 다 없어진 조건에서 구태여 그에 구속돼 있을 이유마저 없게 됐다"고 일축했다. 현대그룹 관계자는 "김 전 부회장 사태가 조속히 마무리되고 북한측과 개성 등 대북사업 논의를 추진하려는 과정에서 이 같은 일이 불거져 난감하다"며 당황하는 분위기다. 이 관계자는 "북한측의 진의를 좀더 파악해 봐야 할 것 같다"며 조심스러운 입장이다. 한편 아태평화위는 이번 담화에서 "현대그룹 상층부가 곁에 와 붙어 기생하려는 야심가들을 버리고 옳은 길에 들어선다면 우리는 그들에게 금강산 관광의 넓은 길을 열어주는 아량을 보이게 될 것"이라고 말해 김 전 부회장의 복권은 물론 신실세 그룹 척결을 동시에 요구한 것으로 풀이된다. 입력시간 : 2005/10/20 18:08

관련기사



김홍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