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LPGA 3인방 릴레이 레슨] <22> 김미현-먼거리 러닝 어프로치

임팩트 후에도 헤드 낮게 유지해야


아마추어가 어프로치 샷에 대해 한 수 배움을 청할 때 대부분의 프로 골퍼들은 러닝 어프로치를 추천한다. 가장 쉽기도 하려니와 뒤땅이나 토핑 등의 실수를 해도 볼이 목표에서 멀리 달아나지 않아 유용하기 때문이다. 그린 에지에서뿐 아니라 그린에서 약 20~30야드 정도의 비교적 먼 거리라고 하더라도 러닝 어프로치를 할 수 있다. 먼 거리에서 어프로치를 할 때는 마치 롱 퍼팅을 하듯 스윙 폭으로 거리를 조절해야 한다. 볼은 오른발 앞쪽에 오도록 하고 그립을 한 양 손은 볼보다 왼쪽에 놓는다. 체중은 왼발 쪽에 80%를 두고, 백 스윙을 할 때는 느긋한 마음으로 천천히 한다. 주의할 것은 백스윙이 큰 만큼 임팩트가 쉽지 않다는 데 있다. 손목의 스냅을 어느 정도는 이용해야 하지만 짧은 러닝 어프로치보다 어깨 회전 폭의 비중이 더 높아진다. 이는 보다 정확하게 임팩트를 하기 위한 포석이다. 볼을 칠 때 주의할 사항은 임팩트 후에도 클럽 헤드를 낮게 유지해야 하는 것이다. 즉, 볼을 눌러 치듯 임팩트를 하고 약 15cm 정도 밀고 나가 임팩트 존을 길게 만들어야 한다. 사진을 잘 보면 스탠스 중앙에 티를 하나 꽂아 놓은 것을 알 수 있다. 볼이 위치한 지점에서 약 15cm 왼쪽에 꽂아놓은 것인데 이 위치까지 클럽헤드를 계속 밀고 나가야 한다. 이는 완만한 스윙 궤도로 보다 정확하게 임팩트를 만들기 위한 것이다. 스윙이 급한 각도로 들어오면 토핑이나 뒤땅 등 예상치 못한 미스 샷이 나오게 된다. 특히 뒤땅에 대한 위험이 큰데 그렇게 되면 볼이 멀리 가지 않아서 다시 한 번 같은 샷을 반복해야 할 위험이 있다. 러닝 어프로치에서의 토핑은 볼이 어느 정도 구르기 때문에 뒤땅보다는 실수에 대한 보상이 큰 편이다. 비거리가 짧은 나 같은 선수는 대회에 나가서 애매한 거리의 파5 홀을 만날 때가 있다. 투온이 어렵지만 공격적으로 플레이가 필요한 때는 일단 그린 근처의 안전한 지점까지 볼을 보내고 이 러닝 어프로치로 공략을 하게 된다. 아마추어는 프로 선수처럼 우드로 투 온을 노리기가 쉽지 않을 것이다. 차라리 미들 아이언으로 안전한 지점을 공략하는 것이 훨씬 좋다. 이 샷을 잘 익혀 놓으면 일단 그린 앞 20야드 근처 페어웨이에 볼을 갖다 놓고 버디를 노릴 수 있을 것이다. 참, 어떤 거리든 러닝 어프로치를 하기로 마음 먹었다면 볼과 핀을 잇는 선상에 러프나 벙커 등의 장애물이 없어야 한다. 또 돌멩이나 스프링 쿨러 헤드 등 의외의 장애물이 있을 수 있으므로 샷 하기 전 먼저 그린 에지까지 걸어가며 장애 요소가 있는지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사진설명] 먼거리 러닝 어프로치를 할 때는 임팩트후에도 클럽헤드를 낮게 유지해 임팩트 존을 길게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