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러시아, 이라크 유전개발 기득권 요구

푸틴, 이라크 총리에 "기존계약 재개·신규사업 참여 허용을"

러시아가 미국ㆍ영국 등 이라크 전쟁 참전국들의 이라크 유전 독식에 반발하여 기존 유전에 대한 기득권을 주장하고 나섰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4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최근 원유 개발사업 등 이라크와의 기존 계약의 재개와 신규사업 참가 허용을 촉구하는 서한을 이라크 정부에 보냈다고 보도했다. 푸틴 대통령은 알 말리키 이라크 총리에 보낸 친서에서 전후 복구과정에서 러시아가 이라크내 인프라 복구 사업 및 석유와 천연가스 부문의 개발 프로젝트 등에 적극 참여할 의사가 있음을 밝혔다. 그는 특히 “원유가 (대규모로) 매장된 서부 쿠르나 유정의 2단계 개발사업과 키르쿠크-바니아스 간 송유관 개량 프로젝트에 큰 관심을 갖고 있다”면서 러시아가 이라크 주재 외교 인력을 확대하고 있음을 주지시켰다. 아울러 그는 “러시아 기업들이 이라크 경제 인프라, 특별히 풍부한 경험과 좋은 성과를 거둬온 에너지와 석유, 천연가스 부문의 복구와 현대화에 보다 많이 기여할 태세를 갖추고 있다”고 강조했다. 푸틴 대통령의 친서는 이라크 석유부가 국내외 석유사를 남부와 북부 지역의 두 군데 대형 유전에 대한 기술지원 계약 입찰에 초청한 지 이틀 만에 알 말리키 총리에 전달됐다. 러시아는 옛 소련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 사담 후세인 정권과 돈독한 관계를 맺어 왔으나 2003년 미국과 영국이 주도하는 다국적군의 침공으로 후세인 정권이 축출된 후 이라크와의 외교관계가 단절돼 왔다. 이후 러시아는 이라크와 체결한 석유와 발전소 등 수억 달러의 계약들이 동결된 상태이며 이들 계약의 재개 여부는 이라크 새 정부의 승인 여하에 달려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