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지하철 3호선 곳곳 안전사고 위협

천장 균열·누수에 피난유도등 표시 정반대로 설치도<br>소방방재청 점검 결과

서울 지하철 3호선 곳곳에 위험요소가 도사리고 있는 것으로 지적됐다. 소방방재청은 13일 지난 5월 15~19일 지하철 3호선에 대한 특별안전점검을 한 결과, 대형 사고 위험요인은 없었지만 구조물 균열과 잘못 설치된 대피유도등(燈) 표시 등 적지 않은 안전사고 위험요인이 발견됐다고 밝혔다. 서울시와 한국시설안전기술공단,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등 4개 기관이 공동 참가해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종로 3가에서 을지로 3가 구간의 지하터널 보강구간에서 물이 새는 ‘누수 현상’이 발견됐다. 학여울역 승강장과 교대역의 수서행 터널 진입로 부분 천장에서는 균열이 발생했고 남부고속터미널의 천장 패널과 천장 그릴이 오래돼 누락될 위험이 있었다. 남부고속터미널 지하상가에서는 비상방화문 문고리가 고장 나 화재 등 비상사태 발생시 안에서 문을 열고 나올 수 없게 돼 있었다. 안국역의 경우 설비용역사의 사무실 천장이 중간에 스티로폼이 들어간 샌드위치 패널로 돼 있어 화재시 유독가스 발생 위험에 노출돼 있었다. 또 잠원역과 신사역, 압구정역 등 3곳에서 피난유도등 표시가 출구와 정반대 방향으로 설치돼 비상탈출시 혼란이 우려됐다. 아울러 대부분의 역사에서 연기를 막아 주는 제연 경계벽의 틈새가 제대로 메워져 있지 않았고 역사 입구의 소화송수구 앞에 자전거 보관함이 설치돼 화재발생시 긴급조치에 지장을 초래할 것으로 우려됐다. 소방방재청 관계자는 “이번에 드러난 문제점들을 서울메트로에 통보, 시정 보완토록 하고 이행사항을 추적 관리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