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정운찬, 전경련 이익단체로 변질

대기업, 정부 동반성장 지지부진. 출총제 부활 검토해야

정운찬 동반성장위원회 위원장이 해체론이 제기된 전경련에 대해 “지나친 이익단체로 변했다”고 비판했다. 또 대기업의 동반성장 정책에 대해서도 부정적인 견해를 나타냈다. 정 위원장은 22일 MBC라디오 프로그램 ‘손석희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전경련은 대기업의 이익을 대변하는 집단이 아니라 기업 생태계를 건강하게 만드는 공기와 같은 역할을 하는 단체로 변해야 한다”며 이 같이 밝혔다. 정 위원장은 또 “지난해 9월 대기업들이 (동반성장을 위해) 1조원의 기금을 마련한다고 했지만 아직 지지부진하다”면서 “대기업 총수들이 현실을 잘 파악하지 못하는 것 같아 안타깝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허창수 전경련 회장이 몇몇 대기업의 문제를 갖고 전체 대기업이 악인 것처럼 몰아가서는 안 된다고 말했지만 내가 인식하기로는 몇몇 대기업이 아니라 아주 많은 대기업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다만 “지난 6월 허 회장이 동반성장 정책에 협조하겠다고 밝힌 이후 삼성이 소모성 자재 구매대행(MRO) 사업을 포기하는 등 상당한 변화가 있었지만 대기업이 진정성이나 연속성을 보여주고 있는 것인지에 대해선 두고 볼 일”이라고 말했다. 그 동안 갈등을 빚어 온 정부에 대한 불만도 간접적으로 드러냈다. 정 위원장은 “양극화 해소와 동반성장을 위한 대통령의 의지는 확고하다”면서 “관계부처의 의지가 얼마나 확고하느냐가 문제인데 어느 누구와도 만날 준비가 돼 있지만 (최중경 지식경제부 장관을) 아직 만나지 못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정치적인 제스처가 아니라는 의심을 벗기 위해서라도 정부는 진정성 있는 세부정책을 잘 집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 위원장은 개인적인 의견을 전제로 출자총액제한제도 부활을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글로벌 금융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경쟁을 강조한 나머지 출자총액제한제도를 폐지했지만 경제력 집중 해소를 위해 이 제도 부활을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 배경으로 “지난 몇 년 간 10대 대기업이 닷새가 멀다 하고 기업 수를 늘려가고 있고 4대 대기업 그룹의 매출이 국내총생산(GDP)의 40~50%를 넘었으며 대기업의 영업이익률이 8-9%인데 반해서 중소기업은 2-3% 밖에 안 되는 등 부의 쏠림 현상이 심화됐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