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안에 최대 1m 높이의 쓰나미는 78~86년마다, 5m 높이의 쓰나미는 910∼972년마다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한국원자력연구원에 따르면, 김민규 박사 등은 조선시대 이후 동해안에 영향을 미친 쓰나미 기록에 바탕해 연구한 '경험자료에 의한 동해안의 지진해일 재해도 평가' 논문에서 이같이 분석했다.
국내 원자력발전소에 직접적인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최대 10m 높이의 쓰나미는 1만7,383∼2만2,690년, 15m 높이의 쓰나미는 33만2,114∼52만9,507년 주기로 되풀이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계산했다.
김 박사는 논문에서 "앞으로 동해안에 쓰나미를 유발할 수 있는 모든 단층으로부터의 쓰나미 전파 모의 시뮬레이션을 통해 재해도 평가를 수행한다면 좋은 비교가 될 수 있을 것"이라며 "쓰나미 재현주기 평가는 원전의 쓰나미에 의한 확률론적 안전성 평가를 위해 반드시 수행해야 할 내용"이라고 강조했다.
조선시대 쓰나미 피해 기록은 1643년 6월21일(울산에서 큰 파도가 12보까지 육지에 들락거렸다), 1668년 7월25일(철산 바닷물이 크게 넘치고 지진이 일어나 지붕의 기와가 모두 기울어졌다), 1681년 6월24일(8도에서 모두 지진이 발생했으며 강원도 신흥사 및 계조굴의 거암이 모두 붕괴됐고 평일에 바닷물이 차있던 곳이 100여보 노출됐다), 1702년 11월28일(강원도에서 해일로 표몰한 인가가 많았다), 1741년 7월19일(하루 7∼8차례나 동해 바닷물이 넘어들어 인가가 많이 표몰됐다) 등이 있다.
이후에는 1940년 8월2일 일본 카무이미사키 지진(규모 7.0), 1964년 6월16일 니가타 지진( " 7.5), 1983년 5월26일 동해 중부 지진( " 7.7), 1993년 7월12일 일본 홋카이도 남서외해 지진( " 7.8) 등이 발생했다. 이 ㄱ운데 1983년 지진 때는 강원도 삼척시 임원항에서 4.2m의 파도 높이가 관측됐고 1명이 사망, 2명이 실종됐다. /속보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