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日, 선제공격용 무기보유 재추진

북한 핵실험 이후 ‘적기지공격능력 보유론’급부상


北 초전박살낼 무기를… 살벌한 일본
日, 선제공격용 무기보유 재추진북한 핵실험 이후 ‘적기지공격능력 보유론’급부상

이종혁기자 2juzso@sed.co.kr



















일본이 북한의 3차 핵실험을 계기로 헌법으로 제한된 ‘선제공격용 무기 보유’에 재시동을 걸고 있다.

산케이신문은 20일 집권 자민당이 ‘적(敵)기지 공격능력 보유’ 문제를 본격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적기지 공격능력’이란 적국이 미사일을 발사할 조짐이 있을 때 기지를 타격할 수 있는 순항미사일 등을 일컫는다. 이와야 다케시 자민당 안보조사회장은 19일 당내 회의에서 일본이 적기지 공격 능력을 타국(미국)에 의존하고 있다며 “이를 어떻게 생각할지가 방위대강(개정)의 큰 주제다”라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올해 말 10개년 방위계획대강(이하 방위대강)을 바꿀 때 관련 조항이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


일본은 평화헌법과 전수방위(專守防衛) 원칙에 따라 선제공격용 무기는 보유하고 있지 않다. 하지만 북한의 핵실험과 장거리로켓발사 등을 계기로 헌법에 대한 해석을 조금씩 바꾸다 최근에는 “적기지 공격 능력 보유도 헌법이 인정하는 자위(自衛)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주장해왔다.

관련기사



일본 정부는 지난 2004년 5개년 방위력정비계획 개정 초안에 사거리 300㎞의 순항미사일을 연구개발한다는 항목을 포함시켰으나 “전수방위 원칙에 명백히 위반되며 주변국을 자극할 수 있다”는 반대에 부딪혀 포기한 적 있으며 2009년에도 자민당이 방위대강과 방위력정비계획 개정을 앞두고 순항미사일 도입을 주장했지만 그해 총선에서 민주당에 정권을 내주는 바람에 무산된 바 있다.















이종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