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중국 경기부양 가속화할듯

성장유지 위해 전면적 금리인하·재정정책 강화 가능성


중국이 미국발(發) 금융위기에 따른 국내경기 후퇴를 방지하기 위해 경기부양 속도를 한층 가속화할 전망이다. 중국 경제전문 주간지인 경제관찰보는 22일 "올해 들어 중국의 경제정책은 세 차례의 큰 변화가 있었으며, 경기과열 및 물가억제의 양방(兩防)에서 성장유지 및 물가억제의 일보일공(一保一控)을 거쳐, 지금은 성장유지(保增張)으로 정책방향이 바뀌었다"며 "전면적인 금리인하 가능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경제관찰보는 "이 같은 정책변화는 미국의 금융위기에 따른 중국경제의 하강을 막기 위한 것"이라면서 "금융긴축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통화주의자들의 논리보다, 공급학파의 주장에 더욱 힘이 실리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JP모건의 리징(李晶) 애널리스트는 "최근 인민은행이 금리를 인하한 것은, 이미 통화팽창이 중국경제를 저해하는 주적(主敵)이 아니라는 정책당국의 인식전환이 생겼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 신문은 "이번 지급준비율 인하에서 5대 시중은행이 제외됐다는 점은 아직 중국 정부가 사태추이를 지켜보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면서 "그렇지만 지금으로서는 연내 1~2%포인트의 지준율 인하 가능성이 있으며, 앞으로 생산자물가지수(PPI)와 소비자물가지수(CPI) 등이 안정세를 나타낸다면 금리 인하 가능성에 대한 언급도 결코 과장된 것은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스탠다드 차터드 은행도 '긴축 종언과 부양시대의 개막'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중국 정부가 성장촉진을 위해 재정정책을 강화할 것으로 예측했다. 이 보고서를 작성한 왕즈하오(王志浩) 수석경제학자는 "올해 들어 중국 증시가 60% 하락했으며, 리먼브러더스의 파산이 중국 은행권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더라도 투자자들의 공황심리를 부추길 것으로 중국 정부는 우려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중앙은행이 정식으로 통보는 하지 않았지만 은행권에 유동성을 회복시켜주고 있다"면서 "연말에 은행권이 신규대출한도를 어겼다고 이들에게 벌칙을 가하는 일은 지금으로서는 상상하기 힘들다"고 설명했다. 부동산 시장과 관련, 그는 "대출금리 인하 등 긴축완화로 중국의 부동산이 혜택을 입을 것으로 보이지만 부동산 수요가 되살아나기에는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다"고 내다봤다. 중국 인민은행은 지난 15일 대출금리를 6년만에 처음으로 인하했으며, 이에 앞서 중소기업 자금난을 덜어주기 위해 은행권의 신규대출한도를 5~10% 늘려줬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