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오프사이드 아냐?'… 석연찮은 주심판정

"저거, 오프사이드가 아냐?" 한국 축구대표팀이 주심의 석연찮은 판정에 월드컵 2회 연속 16강 진출의 꿈이 물거품처럼 사라지고 말았다. 2006독일월드컵축구 조별리그 G조 최종전이 벌어진 하노버월드컵경기장. 아드보카트호는 0-1로 뒤지고 있던 후반 32분 수비 상황에서 스위스 미드필더사비에 마르제라즈의 순간적인 찔러주기 패스에 빗장이 열리면서 오른쪽 측면이 뚫렸다. 순간 부심의 오프사이드 깃발이 올라갔다. 그러나 주심 호라치오 엘리손도(아르헨티나)는 인플레이를 시켰고, 결국 알렉산더 프라이는 골키퍼 이운재와 1대1 상황에서 추가골을 성공시켰다. 부심의 오프사이드 깃발을 본 수비수들이 적극적인 방어에 들어가지 않은 순간에 당한 어이없는 실점이었다. 스위스 골로 선언되는 순간 한국 선수들은 주심과 부심에게 일제히 달려가 항의해봤지만 판정은 번복되지 않았다. 그렇다면 왜 오프사이드 판정이 주심에게 인정되지 않았을까. 경기장 전광판에리플레이된 골 상황을 보면 마르제라즈가 볼을 투입하는 순간 수비를 하던 한국 선수의 발끝에 맞고 살짝 굴절되면서 프라이에 연결됐다. 부심은 프라이의 위치를 보고 깃발을 올렸지만 주심은 한국 선수의 발끝에 맞고마르제라즈에게 연결된 것으로 판단해 인플레이를 시킨 것이다. 조광래 스포츠조선 해설위원은 "완화된 오프사이드 규정에 의한 골로 보인다"며"사비에가 패스를 하는 순간에는 오프사이드 위치에 있었지만 한국 선수의 발끝에맞고 굴절된 상황이어서 주심은 오프사이드를 인정하지 않은 것 같다. 주심의 재량으로 밖에 볼 수 없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패스가 나가는 순간에 이미 부심의 깃발이 올랐던 상황이어서 주심의 판정은 아쉬울 수 밖에 없다. 특히 전반 42분에도 이천수가 코너킥을 한 볼이 페널티지역 안에서 상대 수비수파트리크 뮐러의 손에 맞았지만 주심은 핸들링 반칙으로 인정하지 않았다. 공에 맞는 순간 뮐러가 양손을 몸에 붙이고 있었다는 것. 석연찮은 엘리손도 주심의 판정에 한국 축구의 16강 진출 꿈이 무산되는 순간이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