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해적 걱정 뚝

원거리서 해적선 식별·퇴치<br>대우조선, 방어시스템 개발

대우조선해양은 첨단 정보기술(IT)을 도입해 독자 개발한 지능형 해적 방어 시스템(DAPS)을 출시한다고 9일 밝혔다.

약 2년여의 개발과 테스트를 통해 완성된 DAPS는 해상에서의 해적선박 식별 및 퇴치를 위한 종합 선박보안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기존 선박에 설치된 레이더 신호를 이용해 영상정보를 분석하고 지능형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원거리의 의심 물체를 실시간으로 파악한 뒤 본선에 위험을 가할 수 있는 해적인지 여부를 자동으로 판가름한다.


위험의 정도는 거리 반경에 따라 1ㆍ2단계로 나뉜다. 1단계로 선박 반경 약 2km까지 해적 의심 선박이 접근 시 의심 선박에 고출력 지향성 스피커로 접근 금지 경고방송을 함과 동시에 선내 경고방송으로 해적 침투에 대비한 경계근무 및 해적 퇴치 준비에 들어간다. 1단계 해적 퇴치 경고방송에도 불구하고 의심 선박이 계속 접근할 경우 고출력의 음향대포와 물대포ㆍ레이저를 사용해 해적의 접근을 실질적으로 무력화한다.

관련기사



이 모든 과정은 자동제어로 이뤄지며 불가항력적인 해적의 공격이 계속될 경우 선원들이 피난처로 대피한 후 안전한 공간에서 모니터링 및 상황별 대처가 가능하도록 설계돼 있다.

이 시스템을 이용하면 해적으로 인해 야기될 수 있는 막대한 인명 및 재산 피해를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회사 측은 기대하고 있다. 실제로 현재 대우조선해양이 건조 중인 쿠웨이트 국영선사 KOTC의 원유운반선과 석유제품운반선 5척에 이 시스템을 설치하기로 하는 등 선주들로부터도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순수 국내 기술로 개발된 DAPS는 고출력 지향성 스피커를 개발ㆍ생산하는 중소기업 제이디솔루션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개발됐다.

개발을 주도한 김원석 대우조선해양 영업설계2그룹 전문위원은 “항해 중 관할 국가 연안에서의 무기 소유 및 발포가 금지되고 있는 상황에서 DAPS는 선원의 신변 보호를 위한 효율적인 솔루션”이라며 “향후 위성을 이용한 영상정보 제공 등의 기능을 보강해 해적 방어뿐 아니라 각종 해양사고의 원인 분석 등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재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