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LG CNS 해외진출 본궤도 우즈벡 ICT 합작법인 출범

현지 정부 세제 등 전폭 지원 속 정보통신개발부 주관사업 수주

전자정부·국세통합시스템 이어 태양광 발전 등 협력 확대 방침

김대훈(왼쪽 세번째) LG CNS 사장과 후르시드 미르자히도프(왼쪽 네번째) 우즈베키스탄 정보통신기술개발부 장관이 14일(현지시간)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에서 'LG CNS 우즈베키스탄 유한회사 출범식'을 가진 후 참석자들과 함께 포즈를 취하고 있다. /사진제공=LG CNS

LG CNS가 앞으로 우즈베키스탄의 공공과 민간 영역 정보통신기술(ICT) 사업을 도맡아 진행할 현지 합작 법인을 설립했다.


LG CNS는 14일(현지시간) 우즈베키스탄 수도 타슈켄트에서 ‘LG CNS 우즈베키스탄 유한회사’ 출범식을 갖고 사업을 본격화 한다고 15일 밝혔다.

관련기사



합작법인은 LG CNS가 51%의 지분을 갖고, 우즈베키스탄 정보통신기술개발부 산하 국영기업 우즈텔레콤과 유니콘이 각각 29%와 20%를 나눠 갖는 방식으로 설립됐다. 법인은 우즈베키스탄 현지의 공공기관과 민간의 IT 사업을 주관하는 정보통신기술개발부 주관 사업을 수주해 이행하게 된다. LG CNS에 따르면 법인은 현재 법인·개인 데이터베이스(DB) 시스템 구축 사업을 수주해 구축 중이나, 조만간 전자정부 통합 플랫폼 사업과 국세통합시스템, 타슈켄트 교통카드, 디지털 도서관 구축 등에도 참여할 계획이다.

특히 LG CNS가 그 동안 우즈베키스탄 정부에 ICT 기술 이전과 전문 인력 육성 계획을 제안했고, 이에 우즈베키스탄 정부는 대통령 결의안으로 합작법인에 각종 세제 혜택과 직접 협상권을 제공키로 했다는 게 회사측의 설명이다. 김대훈 LG CNS 사장은 “우리의 축적 기술력과 사업 노하우를 활용해 우즈베키스탄 정부와 민간의 ICT 경쟁력을 높이는 데 이바지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외에 LG CNS와 우즈베키스탄 정부는 태양광 발전과 스마트 그린시티 등 스마트 테크놀로지 사업 분야에서도 협력을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


권대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