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최근 외채 급증, 위기징후 아니다"

한은, 공식 반박… "상반기 순채무국 전환 가능성도 낮아"

최근 외채의 급증이 외환위기 때와 비슷한 위기징후라는 지적에 대해 한국은행이 “외채 규모나 성격, 지표 등에 문제가 없다”며 공식 반박했다. 또 우리나라가 상반기 중 순채무국으로 전환될 가능성도 거의 없다고 강조했다. 한은은 17일 ‘최근 외채 동향에 대한 평가’라는 긴급 보고서를 내고 “올 1ㆍ4분기 중 총 외채는 303억달러 늘었지만 2ㆍ4분기 이후 증가 규모가 크게 축소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지난 2년간 외채급증의 주요인이었던 조선업체 및 해외증권투자자의 선물환 매도와 외국인의 국내 채권투자 압력이 완화될 것이라는 예상에 따른 것이다. 한은은 올해 조선업체의 선물환 매도 예상규모는 지난해 551억달러보다 48억달러 줄어든 513억달러이며 특히 선물환 만기도래(317억달러) 물량을 감안할 때는 실제 시장에 나올 달러 매물은 200억달러에도 미치지 못할 것으로 분석했다. 해외증권투자 선물환 매도 역시 지난해(400억달러)의 7분의1 수준인 60억달러로 대폭 감소할 것으로 추정했다. 지난해 352억달러였던 외국인의 국내 채권투자도 200억달러로 축소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광주 한은 국제금융담당 부총재보는 “2ㆍ4분기에는 외채증가 규모가 100억달러를 넘지 않을 것이고 대외채권도 늘어날 수 있어 상반기 중 우리나라가 순채무국으로 전환될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강조했다. 이 부총재보는 특히 외채 규모뿐 아니라 성격이나 외채지표 등 여러 부문에서도 외환위기의 징후는 보이지 않는다며 위기론을 일축했다. 또 최근 외채급증은 경상수지 적자를 보전하기 위한 것에서 비롯된 게 아니라 상당 부분 미래의 수입에 바탕을 두고 있어 성격이 다르다고 지적했다. 즉 조선업체 및 해외증권투자의 선물환 순매도와 관련된 외채가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수출대금 등을 회수할 경우 외채도 자동적으로 줄어든다는 설명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