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무제한 요금제 조만간 폐지될듯

이통사장단, 최시중과 간담<br>"더 이상 유지하기 힘들어… 방통위가 명분 만들어줘야"

스마트폰 무제한 데이터 요금제가 금명간 폐지되는 방향으로 결론날 것으로 전망된다. 또 카카오톡ㆍ스카이프 등의 애플리케이션 업체들은 앞으로 통신망을 이용하는 대가를 지불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석채 KT회장과 이상철 LG유플러스 부회장은 14일 저녁 최시중 방송통신위원장과의 이통사 사장단 간담회에서 이 같은 입장을 강하게 밝혔다. 이 회장은 “KT의 경우 통신망에 막대한 투자를 쏟아부어서 통신망 용량을 두 배 늘렸지만 순식간에 다 찼다”며 “수요를 통제하지 않고 공급으로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것은 난센스”라고 지적했다. 이 회장은 특히 무제한 데이터 요금제에 대해 "선을 그어야 한다"며 부정적인 입장을 나타냈다. 이상철 부회장도 “무제한 요금제가 영원히 갈 수는 없을 것”이라며 “방통위에서 통신사들이 편하게 무제한 데이터 요금제에서 빠질 명분을 만들어줘야 한다”고 말했다. 종전 ‘무제한 요금제 폐지는 없다’는 입장을 보였던 SK텔레콤도 이날 한발 물러서는 자세를 보였다. 하성민 SKT 사장은 “고객들의 뜻을 존중할 것”이라면서도 “폐지를 ‘결코’ 하지 않겠다는 뜻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카카오톡처럼 대가 없는 과도한 통신망 이용을 어떻게 볼 것인가 하는 망 중립성 문제와 관련해서는 3사 CEO 모두가 한목소리를 낸 것으로 알려졌다. 이 회장은 “데이터 폭증 문제는 이용자들도 문제지만 더 큰 문제는 앱을 만드는 사람들”이라며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 기업들도 개발 단계에서부터 불필요한 트래픽을 유발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하성민 사장도 “신중하게 잘 선택해야 할 문제지만 해외 사업자들이 밀려오는 것도 감안해야 할 것”이라고 거들었다. 이 회장은 또한 단말기 유통구조 개선에 대한 강한 의지를 드러냈다. 이 회장은 “유통망 문제와 관련해 KT가 어떤 대가를 지불하더라도 개선할 것”이라며 “방통위와 공정거래위원회가 힘을 좀 보태달라”고 호소했다. 한편 이날 모임에서 최 위원장과 각 사 CEO는 통신요금 인하안에 대해 특별히 논의하지 않았다. 최 위원장은 인사말을 통해 “각 사에 자율적으로 맡기겠다”고 밝혔지만 SK텔레콤이 이미 기본료 1,000원을 인하한 상황에서 KT와 LG유플러스가 따르지 않을 수 있겠냐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관측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