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이통업계 '5.31' 선거날 보조금 놓고 진흙탕 싸움

이동통신사들은 '5.31 지방선거'라는 국가 중대사에 아랑곳하지 않고 선거 당일 불법 보조금 문제를 놓고 진흙탕 싸움을 벌였던 것으로 드러났다. 이동통신 업계 3위 사업자인 LG텔레콤[032640]은 2일 주요 일간지 광고를 통해 1위 사업자인 SK텔레콤[017670]의 불법 보조금 지급을 문제 삼아 시비를 걸고 나섰다. LGT는 2일자 주요 일간지에 '저희 LG텔레콤에 기분좋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습니다'는 제목의 전면 광고를 싣고 "5월31일 이동통신 지배적 사업자가 LGT 가입자를 유치하는 대리점에 10만원의 비상식적인 보조금을 살포했다"며 지배적 사업자인 SKT의 불법행위를 비난했다. LGT는 "(SKT의 이같은 불법 보조금 정책으로) 이날 하루동안 평소 휴일의 8배에 달하는 8천554명의 가입자를 빼앗겼다"며 "지배적 사업자가 최약자인 LG텔레콤을 견제해준 것은 LG텔레콤에 기분좋은 변화"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SKT측은 한마디로 '적반하장'격이라는 입장이다. 광고에서 언급된 5월31일 하루의 통신시장 상황을 놓고 볼 일이 아니라 그 전에 있었던 LGT의 불법 보조금 지급행위를 봐야 한다는 것이 SKT의 주장이다. SKT 관계자는 "5월30일 통신위원회는 이통3사의 마케팅 담당임원이 참석한 가운데 5월중 통신시장이 다소 과열된 점은 인정되지만 6월 시장 안정화를 전제로 5월 조사를 종결하는 입장을 전달했다"면서 "그러나 LGT는 30일 회의 직후 건당 15만원 상당의 불법 보조금을 뿌리기 시작했고 이에 대응해 SKT가 31일 맞대응에 나선 것"이라고 설명했다. 즉, 통신위의 5월 통신시장 조사 종결을 틈타 LGT가 먼저 5월30일 불법행위를 자행했고 그 다음날 SKT는 시장방어를 위해 부득히 대응에 나선 것이라는 게 SKT의 주장이다. SKT는 "통신시장에 대해 누구보다 잘 알고 있는 통신위가 통신시장의 질서를 유지해줄 것으로 믿고 있다"면서 "(LGT의 광고에 대해) 맞대응할 생각은 없다"고 말했다. 통신위는 이날 오전 이통 3사의 마케팅 담당 임원들을 불러 사실여부에대한 확인과 함께 시장안정화 다짐을 재차 촉구하는 한편 이통사들의 불법행위 재발방지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통신위 관계자는 "5월 통신시장에 과열이 있었던 것은 사실"이라고 전제한 뒤 "LGT의 광고는 기업광고일뿐 그 이상의 의미는 없다"면서 "통신위는 사실확인을 거쳐 법 절차에 따라 엄정히 처리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