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車업계 '핸즈프리' 대책 서둔다

30일 단속맞춰 거치대 무료제공·사양장착등 다양자동차 업계가 다양한 '핸즈프리' 대책을 마련ㆍ실시한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 완성차와 수입차 업체들은 오는 30일부터 운전중 휴대폰 사용이 금지됨에 따라 핸즈프리 거치대를 무료로 제공하거나 핸즈프리를 기본 또는 선택사양으로 장착한 차량을 본격 시판한다. 현대자동차는 7~9월 단계적으로 전 차종에 걸쳐 핸즈프리를 장착하기로 하고 선택사양으로 10만원 정도를 받을 계획이다. 기아차도 이 기간동안 핸즈프리를 기본사양으로 제공한다. 대우차는 그동안 매그너스와 마티즈에 내장형 핸즈프리를 장착하고 일부 차종에 대해 핸즈프리를 무료로 제공했으나 7월부터는 전 모델로 확대한다. 쌍용차와 르노삼성차는 하반기에 핸즈프리를 장착한 모델을 선보일 계획이며 볼보자동차코리아는 이달 25일부터 출고되는 차량을 대상으로 핸즈프리를 장착하는 거치대를 무료로 증정한다. 이 핸즈프리 거치대는 드릴과 나사를 사용하지 않아 차량에 손상을 입히지 않으며 사용을 원하지 않는 고객을 위해 장착해 출고하지는 않을 방침이다. BMW코리아는 지난해 6월부터 3시리즈 이상 전 차종에 BMW 휴대폰 시스템을 적용하고 있다. 이 시스템은 BMW와 모토로라가 BMW 차량 전용으로 개발한 것으로 운전중 전화기를 따로 들 필요없이 운전대 위의 버튼으로 수신과 발신, 통화를 모두 할 수 있는 것이 특징. 계기판 등을 통해 저장된 전화번호를 탐색해 전화를 걸 수 있고 차체 내장 스피커를 통해 여러명이 통화를 할 수도 있다. 선택사양으로 가격은 140만원선. 임석훈기자 최원정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