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가장 우려되는 글로벌 리스크는 美 더블딥"

삼성연 설문조사 결과

우리나라 최고경영자(CEO)의 절반 가량은 가장 우려되는 글로벌 경제 리스크로 ‘미국 더블딥’을 꼽았다. 글로벌 리스크에 대한 대응책으로는 CEO의 절반 가량이 외환관리 및 재고 정리나 모니터링 강화 등의 수세적 방법들을 준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삼성경제연구소가 295명의 국내 CEO 들을 대상으로 해 공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현장에서 체감하는 글로벌 경제위기 리스크 중 가장 우려되는 것’이란 질문에 전체 응답자의 48.1%가 ‘미국 더블딥’을 지목했다. 이어 ‘유럽 재정위기 확산’(28.5%)과 ‘중국의 통화긴축’(15.3%) 등의 순이었다. 다만 미국 더블딥의 실제 가능성에 대해선 ‘가능성이 높다’는 비관적 전망(32.9%)과 ‘가능성이 낮다’는 긍정적 전망(31.5%)이 비슷한 편이었다. 유럽 재정위기의 경우 ‘국지적 불안 등 현 상황을 유지할 것’이란 전망이 50.5%로 절반을 넘었고 ‘일부 국가가 유로존을 탈퇴할 것’이란 답변도 21%나 됐다. 제도 개선으로 유로체제가 강화될 것이란 예상은 15.6%에 그쳤다. CEO들은 이러한 글로벌 리스크들에 대해 ‘외환관리 및 재고정리’(26.4%)를 하거나 ‘모니터링 강화 외에는 대안이 부재’(21%) 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생산거점을 재조정 해 새로운 수출시장을 개척’(24.1%)하거나 ‘외국기업과의 제휴를 추진’(3.1%)하겠다는 공세적 대응책들은 비중이 높지 않았다. 이 외에 ‘기존 수출시장의 입지를 강화’(13.6%)하거나 ‘국내시장 확대에 주력’(10.8%)하겠다는 답변이 있었다. 삼성연은 “이러한 수세적 입장은 국내 CEO들이 해외 경제위기에 대해 혼란스러워하고 있음을 나타낸다”며 “각 기업별로 정확한 전망 및 구체적인 대응방안 마련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