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서승원 경기중기청장 "입지·환경 등 손톱 밑 가시 87건 뽑아내 보람"

TF 현안으로 간부회의 대체… 현장 다니며 애로 직접 해결

규제 개선 체감온도 낮아 단순 이벤트에 그쳐선 안돼


"규제는 반드시 필요한 측면도 있지만, 경제상황이 변하거나 산업여건이 변하면 이에 따라 적절히 수정되고 완화돼야 합니다."

26일 수원 영통구에 있는 경기지방중소기업청장 집무실에서 만난 서승원(50·사진) 청장의 첫 일성은 '손톱밑 가시뽑기'였다.


지난 2월 부임하자마자 중소기업을 옥죄는 각종 규제를 걷어내기 위해 팔을 걷어 부친 그는 요즘 들어 규제개선에 더욱 속도를 내고 있다. 서 청장의 규제개선에 대한 철학은 확고하다.

그는 "기업 애로 발굴은 현장 경영에서 답을 찾을 수 있는 만큼 직원들과 함께 발로 뛰어 개선할 점을 찾고 있다"며 "전 직원이 모두 현장을 방문해 중소기업들의 경영 애로에 귀 기울일 수 있도록 특별 지시를 내렸다"고 말했다.

서 청장의 규제 걷어내기 노력은 단기간에 놀라울 정도의 성과로 이어지고 있다. 경기중기청이 올 1월부터 지금까지 찾아낸 규제 건수는 무려 87건에 달한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2건이나 많다.


규제발굴도 금융규제에서부터 환경규제까지 다양하다. 이 가운데 기업들은 입지 규제를 22건으로 가장 많이 꼽았으며, 다음으로 기술 15건, 환경 8건, 세제·인력 각 6건 등 순으로 나타났다.

관련기사



이 같은 성과에 대해 서 청장은 "공무원으로서 반드시 해야 할 일을 했을 뿐"이라며 "굳이 말하자면 직원들이 중소기업인들에게 진정성을 가지고 다가갔기 때문"이라며 직원들에게 그 공을 돌렸다.

서 청장은 대표적으로 지난 3월 고양시에 있는 한 중소기업을 찾아 애로 사항을 듣고 해결해준 일을 꼽았다. 오토프론트를 생산 하는 이 기업은 영국의 한 기업에 연 25억원의 물동량을 수출해 왔으나, 평소보다 보다 10배가 많은 250억원의 수출구매요청을 받고 공장증설을 시도했다가 번번이 무산됐다. 이유는 용도가 농림지역이기 때문에 건폐율이 20%에 묶여 사실상 공장증설을 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이 소식을 접한 서 청장은 직접 현장에서 보니 주변 지역이 농림지역의 가치가 별로 없어 보였다. 그는 직접 국토부와 농식품부 등 관계부처와 협의를 통해 이 문제를 말끔히 해결해줬다.

서 청장은 또 평택 포승공단에서 진공 포장용기를 생산하고 있는 A 기업의 규제를 풀어준 것도 의미있는 일로 지적했다. 이 회사 정문 앞으로 애초 T자형이던 도로가 2012년 교통영향평가에서 L자형으로 변경됐다. 이 때문에 대형 물류 차량이 회사 정문과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하는 등 안전적인 문제 해결을 계속 건의해왔으나 번번이 실패로 끝났다. 서 청장이 직접 나서 수년간 박혀있던 가시를 불과 2개월 만에 뽑아주었다.

서 청장은 "거의 매일 중소기업인들 만나 애로사항을 듣고 있다"며 "어려운 규제를 해결하면 그 기쁨은 말로 표현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취임 직후 '손톱밑가시' TF를 구성했다. 매주 월요일 실시하던 간부회의를 일주일간 뽑은 '손톱 밑 가시' 현황 회의로 개편한 것이다. 이 같은 노력의 결과 경기중기청의 기업환경개선 과에서만 다뤘던 손톱밑가시 뽑기 사업은 창업성장지원과, 공공판로지원과, 제품성능기술과 등 전 부서의 핵심사업으로 자리 잡았다.

서 청장은 기업인들이 이 같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규제개선에 대한 체감온도가 낮다는 점도 잘 알고 있다. 그는 "규제 개선은 보수적인 경향과 절차에 소요되는 절대적인 시간이 필요하다"며 "작은 기업 애로는 1~2주면 해결할 수 있지만, 법적인 정비를 수반하는 경우 1~2년 걸리는 경우도 있다"고 말했다. 특히 그는 "규제의 증가 속도보다 규제개선 속도가 따라가지 못하는 것이 문제"라며 "손톱밑 가시 뽑기 사업은 단순히 보여주기식 이벤트가 아닌 현 정부의 국정운영 과제인 창조경제를 실현할 수 있는 모델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