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해군, 3,000톤급 잠수함 2020년 전력화

9대 도입 계획..1∙2호기 설계 착수

해군이 장기 수중작전과 원거리 정밀타격이 가능한 3,000톤급 잠수함 9척을 2020년부터 전력화하기로 했다.


군 소식통은 4일 "해군은 2020년부터 10년간 순차적으로 3,000톤급 잠수함 9척을 확보하기로 했다"며 "올해 초부터 1, 2호기 건조를 위한 상세 설계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3,000톤급 잠수함은 기존 1,800톤급이나 1,200톤급 잠수함과 달리 수직발사대를 갖출 수 있다. 이를 통해 잠수함에서 직접 지상 공격이 가능한 잠대지 미사일을 쏴 원거리 정밀타격이 가능하다. 1,800톤급에 비해 잠항시간도 수배 길어 군 작전 수립시 활용폭이 넓어진다. 디젤 엔진이 장착된 3,000톤 급 잠수함은 해군이 창설할 전략기동전단에 소속돼 북한 및 주변국의 해양 위협에 대응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해군은 또 해상 교통로 보호와 대수상함전에 대비해 2018년까지 1,800톤급 잠수함을 현재 3척에서 9척으로 늘릴 계획이다. 1990년대 초부터 도입된 1,200톤급 잠수함 9척은 2020년부터 순차적으로 사용하지 않을 방침이다. 해군은 아울러 2023년 5,000톤급 한국형 차기구축함(KDDX) 6∼9척을 추가로 확보할 예정이며 2,300톤급 차기호위함(FFX)의 경우 2020년께 20여척을 전력화할 예정이다.

한편 북한은 로미오급(1,800톤급) 잠수함 20여척, 상어급(325톤급) 잠수함 40여척, 연어급(130톤) 잠수정 10여척 등 총 70여척을 보유한 것으로 알려졌다. 해군 관계자는 “우리 군은 북한의 잠수함 전력에 대응하기 위해 2018년부터 해상초계기 20여대를 추가 확보할 계획”이라며 “미 해군이 함재기로 사용했던 해상초계기 바이킹(S-3B)을 중고로 구매해 개조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양철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