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韓 1인당 GDP 2030년 日추월"


아시아가 지금 같은 성장세를 유지할 경우 구매력평가(PPP)로 환산한 한국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은 2030년에 일본을 추월하고 2050년에는 미국과 비슷한 수준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아시아개발은행(ADB)은 25일 정부 과천청사에서 기획재정부와 공동으로 개최한 ‘아시아 2050: 아시아 세기의 실현’ 보고서 발간 기념 세미나에서 이 같은 내용을 발표했다. 지난 8월 발간된 ‘아시아 2050’는 아시아의 2050년 모습을 조망하고 아시아의 균형된 지속성장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극복해야 할 과제와 대응 방안을 제안한 보고서다. 12월에는 한국어판이 나온다. ADB는 이 보고서에서 중산층 육성, 지식경제로의 전환 등을 통해 ‘중진국의 함정’에서 성공적으로 벗어난 모범국가로 한국을 제시했다. ADB는 한국의 1인당 GDP(PPP 기준)는 2030년 5만6,000달러로 일본(5만3,000달러)을 넘어서고 2050년에는 9만800달러까지 늘어 미국(9만4,900달러)과 비슷한 수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보고서는 한국에 대해 우선 교육ㆍ과학기술 발전, 기업가정신 등을 통한 생산성 향상을 모범 사례로 꼽았다. 한국의 고등교육 등록률이 95%로 미국(82%)보다 높고 전체 연구개발(R&D) 지출도 GDP의 3%로 세계에서 가장 높고 ‘캐치-업(catch-up)’ 발전방식에서 벗어나 기업가정신을 통한 기술과 혁신 주도의 경제발전 방식으로 전환한 대표적 국가라는 것이다. 또 성공적인 도시개발과 인프라 분야의 공공민간협력(PPP) 활성화, 에너지 효율성 증진, 혁신적 기술개발과 투자를 통한 기후변화 대응, 지역협력을 위한 주도적 역할 수행 등을 높게 평가했다. 다만 ADB는 한국의 저출산 고령화 등에 따라 재정의 지속가능성 유지가 주요한 도전 과제이며 여성의 경제ㆍ정치활동에 대한 참여가 늘어나야 한다고 밝혔다. ADB는 2050년 아시아의 모습에 대해 2가지 시나리오를 제시했다. ‘아시아의 세기’ 시나리오에서는 아시아의 GDP가 2050년 174조달러로 세계의 52%를 차지하면서 1인당 평균소득 4만800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반면 아시아 주요 신흥국이 브라질과 같은 ‘중진국 함정’에 빠질 경우 아시아 GDP는 65조 달러로 세계의 31%를 차지하는데 그치고 1인당 소득도 2만600달러로 머물 것으로 내다봤다. 신제윤 기획재정부 차관은 이날 축사를 통해 아시아 국가들이 공동으로 준비해야 할 과제로 ▦금융안전망 확충과 실물경제 통합을 통한 자생적 성장기반 확충 ▦기후변화 공동 대응 ▦국가간 개발격차 완화 등을 제시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