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북-미 6자회담 수석대표 28일 베이징서 회동할듯

회담일정등 최종조율 가능성

북-미 6자회담 수석대표 28일 베이징서 회동할듯 회담일정등 최종조율 가능성 이성기 기자 sklee@sed.co.kr 6자회담 수석대표인 북한의 김계관 외무성 부상과 미국의 크리스토퍼 힐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가 중국 베이징에서 회동할 전망이다. 27일 외교 소식통에 따르면 이들 수석대표들은 중국의 중재로 28일 오후 접촉을 갖고 6자회담 재개 일정 등을 놓고 최종 조율할 것으로 알려졌다. 현지 외교 소식통은 이날 "김 부상이 중국측 초청으로 28일 오전 베이징에 도착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힐 국무부 차관보가 다시 베이징을 찾은 것은 김 부상과의 대면 접촉을 하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 소식통은 "힐 차관보와 김 부상의 회동에 우다웨이 중국 외교부 부부장이 중재자 자격으로 참석하는 것이 현 시점에서 가장 유력한 회동 형식"이라며 "문제는 이번 회동의 결과가 어떤 내용으로 연결될 지에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소식통은 "미국은 핵실험을 강행한 북한의 핵폐기 의지를 확인해야만 향후 6자회담의 의미가 유지된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며 "북한이 시간 끌기 전략을 다시 구사할 경우 6자회담의 연내 개최가 불투명해지는 것은 물론 북한에 대한 국제사회의 압박이 더욱 강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소식통은 이어 "북한 평양 지도부의 결정이 내려지지 않았을 경우 김 부상이 28일 오전 베이징 행 비행기에 오르지 않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며 "이렇게 되면 6자회담이 내달 중순 개최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힐 차관보는 이날 베이징에 도착한 직후 북한의 김 부상과의 회동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우리는 이미 6자회담 맥락에서 북한과 만날 준비가 돼 있다고 말해왔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우 부부장과 지난주 하던 논의를 계속하고 6자회담을 극도로 계획성 있게 준비하기 위해 베이징에 왔다"며 "회담을 속히 개최하길 원하지만 중국과 회담 개최 일정을 협의해야 한다"고 말해 북미 회동 가능성을 시사했다. 우리 측 6자회담 수석대표인 천영우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도 이날 오전 베이징에 도착, 우다웨이 부부장을 만나 6자회담 준비 상황을 논의했다. 이날 베이징에서는 한ㆍ미ㆍ중ㆍ일 4개국 6자회담 수석대표들 간의 양자 회동이 잇달아 열렸다. 입력시간 : 2006/11/27 16:55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