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바이오

패션이 뭐길래… 남성 ‘하이힐 병’ 환자 급증

외모를 가꾸는 패션남들이 늘어나면서 소위 ‘하이힐 병(무지외반증)’에 걸리는 남성 환자들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볼이 좁은 패션 구두를 신다 보니 발가락에 이상이 발생한 게 원인이다.

1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2009~2013년 후천성 엄지발가락 외반증의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3년 진료 인원은 5만5,931명으로 2009년(4만1,657명)에 비해 연평균 7.6% 증가했다.

여성의 비율이 84.7%로 절대적으로 높았지만 증가율로만 본다면 남성(13.1%)이 여성(6.8%)보다 2배 가까이 늘었다.


특히 20~30대 남성이 크게 늘어 20대는 무려 100%, 30대는 70%나 급증했다.

관련기사



무지외반증은 엄지발가락이 둘째 발가락 쪽으로 휘어져 통증이 발생하는 질병이다. 엄지발가락 뼈의 힘줄이 정상적인 배열에서 이탈하거나 관절을 감싸는 관절낭이 늘어나 엄지발가락의 관절이 변형돼 생긴다.

최근 남성 환자가 늘어난 데는 신발 패션의 흐름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남성도 패션에 민감하게 반응하면서 운동화 보다 볼이 좁은 구두를 신는 이들이 많아졌다는 분석이다.

무지외반증은 발병 초기에는 외형상 약간의 변형만 있고 증상은 별로 없어 방치하기 쉬우나 적절히 치료하지 않으면 엄지발가락이 둘째발가락과 엇갈리는 변형으로 걸음걸이에까지 변화를 줄 수 있다.

발병시에는 교정용 갈창이나 보조기 등을 활용해 치료를 받을 수 있지만 효과가 없을 경우 수술치료를 고려할 수도 있다.

/디지털미디어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