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정부가 기업투자 저해 하고있다"

현명관 전경련 부회장 주장

"정부가 기업투자 저해 하고있다" 현명관 전경련 부회장 주장 현명관(사진) 전국경제인연합회 상근부회장은 29일 “우리 경제는 아직 IMF 외환위기를 극복하지 못했다”고 선언하고 정부가 기업의 투자를 저해하고 있다고 질타했다. 현 부회장은 이날 오전 제주 신라호텔에서 열린 서머포럼 ‘한국기업의 현주소와 기업의 생존전략’ 강연에서 “우리 경제의 현주소를 비행기에 비유해 설명하겠다”면서 “한국호의 두 엔진 중 하나인 기업투자와 내수는 작동이 정지됐고 나머지 엔진인 수출마저 미국 금리인상, 중국 경기조절, 고유가, 고원자재 등으로 여건이 악화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현 부회장은 “IMF 외환위기는 단순히 달러가 부족해 발생한 게 아니라 경쟁력 상실이 원인이었고 아직 (우리는) 글로벌 경쟁력을 회복하지 못했다”면서 “정부는 IMF 외환위기를 극복했다고 선언했지만 아직 위기가 지속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특히 현 부회장은 ‘전략적 위기조장론’을 새롭게 제기해 최근 노무현 대통령의 ‘위기과장론’과 대비를 이뤘다. 현 부회장은 “과거 이병철 회장은 ‘잘될 때 조심하라, 호황일 때 조심하라’며 항상 위기의식을 강조했다”며 “일부러 위기를 조장해야 하고 전략적으로 위기를 조장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최근 정부의 경제정책과 관련해 현 부회장은 “출자총액제한제도, 부동산원가공개, 사립학교 이사회의 교사임명권 박탈 등 정부의 제도가 투자를 저해하는 방향으로 가고 있다”고 말한 후 “투자의욕을 고취시켜도 투자를 할까 말까 한데 이 마당에 투자가 제대로 될 리 있겠냐”며 목소리를 높였다. 한편 세계적인 컨설팅 업체인 베인앤컴퍼니의 이성용 한국지사 대표도 이 자리에서 “지금 한국경제는 상당한 위기에 빠져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삼성전자ㆍ현대차 등 국내 상위 5대 기업 이외에는 지속적인 성장이 쉽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 대표는 ‘핵심사업을 중심으로 한 성장전략’ 강연에서 “한국경제의 성장동력은 지난 60~70년대에 비해 현저히 떨어졌다”면서 “많은 기업들은 현금만 쌓아놓고 버블을 만들고, 위기를 느끼지 못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한국은 소수의 대기업을 제외하면 대부분의 기업들이 성숙단계에 있는 산업에 종사하고 있어 이는 결국 지속 가능한 성장에 대해 의문을 갖게 한다”며 “한국 대기업의 9% 정도는 지속 가능하고 수익성 있는 성장을 이룰 것으로 보이지만 5위권 이외에 6~20위권 기업들은 상당한 위기의식을 느껴야 한다”고 말했다. 위기에 빠진 한국경제에 대한 처방과 관련해 이 대표는 “한국이 성장동력을 되찾기 위해서는 서비스 산업이 가장 중요하다”며 “서비스업이 적극적으로 해외에 진출해 글로벌화하고 성장에 기여해야만 한국이 목표로 하는 2만달러 달성이 가능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제주=문성진 기자 hnsj@sed.co.kr 입력시간 : 2004-07-29 18:13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