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월미은하레일 활용 방안 12월내 확정

궤도택시 등 5가지로 압축

인천 월미은하레일 활용 방안이 이달 안에 확정될 전망이다.

인천교통공사는 월미은하레일 활용안을 기존과 다른 방식의 모노레일, 궤도택시(PRT), 노면 전차, 레일바이크, 꼬마기차 등 5가지로 최근 압축했다고 5일 밝혔다.


교통공사가 지난 9월 착수한 월미은하레일 활용방안 기술조사 및 제안요청서 작성 용역에서 후보안을 이같이 추려낸 것이다.

새로 제안된 모노레일은 기존 월미은하레일 모델보다 안전성을 대폭 강화해 안전성 논란이 거셌던 Y레일 대신 열차를 선로에 걸터앉히는 '과좌식 레일'을 쓰게 된다.


궤도택시는 순천만 국제정원박람회에서 활용된 모델이다. 1대당 6∼9명의 승객을 태울 수 있는 무인택시가 궤도를 따라 운행되는 형식이다. 궤도택시는 전기로 운행돼 친환경 교통수단으로 평가받는다.

관련기사



노면 전차는 1960년대 말까지 서울에서 운행된 노면 전차를 레일을 따라 공중에서 운행하는 방식이다.

레일바이크는 강원도 정선과 삼척 등지에서 인기를 끄는 레일바이크를 벤치마킹했으며 꼬마 기차는 놀이공원에서 볼 수 있는 기차 모형 기구로 보면 된다.

교통공사는 이달 중 용역을 마무리해 이들 5가지 방안 가운데 하나를 선정해 사업 계획으로 확정할 방침이다. 사업 계획이 확정되면 내년 3월까지 민간사업자를 공모하고 4월 착공하기로 했다. 새 시설물은 시범운행을 거쳐 늦어도 2016년엔 개통할 것으로 예상된다.

교통공사는 새 시설물을 공사하는데 수백억대 사업비가 추가로 들 것으로 보고 있다. 사업비는 민간 사업자가 부담하고, 일정 기간 시설물을 운영해 회수하도록 하는 방식을 검토하고 있다.

월미은하레일은 인천역에서 출발해 월미도를 순환한 뒤 다시 인천역으로 돌아가는 6.1㎞ 길이의 모노레일로 설계됐다. 사업비로 850억원을 투입했지만 지난 5월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의 안전성 검증에서 현재 상태로는 정상 운행할 수 없다는 결론이 났다.

장현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