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北 미사일 발사] 韓·日 시간대별 대응

정부 위기대처 민첩성 美·日에 한참 뒤졌다<br>오전 5시 대통령에 첫보고…日보다 4시간이나 늦어<br>첫발사 6시간 지나서야 긴급성명 발표


[北 미사일 발사] 韓·日 시간대별 대응 정부 위기대처 민첩성 美·日에 한참 뒤졌다오전 5시 대통령에 첫보고…日보다 4시간이나 늦어첫발사 6시간 지나서야 긴급성명 발표 권구찬 기자 chans@see.co.kr 5일 새벽3시32분. 북한이 강원도 안변군 깃대령 미사일 발사장에서 첫번째 미사일을 발사했다. 청와대 내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위기관리센터로 미사일 발사 보고가 들어오면서 청와대와 외교통상부ㆍ군ㆍ정보기관 등 외교안보 당국에는 비상이 걸렸다. 관련당국은 정보 채널을 총동원, 상황 파악에 주력하는 등 긴박하게 움직였다. 북한이 두번째 미사일 발사 후 오전5시 세번째로 대포동 2호 미사일을 발사하자 청와대는 노무현 대통령에게 이를 보고했다. 동시에 위기관리 매뉴얼에 따라 즉각 NSC 상임위원회 개최가 통보됐다. 정부는 오전7시30분부터 8시40분까지 이종석 통일부 장관 겸 NSC 상임위원장 주재로 반기문 외교부 장관, 윤광웅 국방부 장관 등이 참석한 가운데 NSC 상임위원회를 개최, 북한의 미사일 발사에 대한 평가와 함께 이에 따른 공식 성명 발표 등 정부의 대응방안을 논의했다. NSC 논의 결과는 서주석 외교안보수석을 통해 오전10시10분 청와대 춘추관 브리핑룸에서 정부 성명 형태로 발표됐다. 서 수석은 성명에서 “북한이 이번 발사로 야기되는 사태에 책임을 져야 하며 도발적 행위를 중단하라”고 북한을 강도 높게 비판했다. 청와대는 오전11시 노 대통령 주재로 안보정책조정회의를 열어 앞으로 전개될 미사일 사태의 시나리오별 대응방안 등을 논의했다. 외교부는 외교 채널을 풀가동했다. 반 장관은 NSC 상임위원회 참석하고 돌아온 뒤 오전10시30분 콘돌리자 라이스 미국 국무장관과 전화통화를 하며 북한의 의도와 외교적 대응방안 등에 대한 의견을 교환했다. 국방부는 이날 오전6시30분 전군에 군사대비태세를 강화하라는 지시를 내렸다. 정부는 주초부터 다각적 경로를 통해 정보를 입수한 뒤 북한의 미사일 발사가 임박했다고 판단, 대응책을 마련해왔던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는 송민순 안보정책실장의 워싱턴 출장(4일 오전 출국)과 관련, ‘미사일 발사가 임박했는데 워싱턴에 가야 하느냐’는 문제를 놓고 내부회의를 가졌고 만약 북한이 미사일을 발사하면 국내 상황은 서 수석이 맡고, 송 실장은 미국과 협의하기로 역할을 분담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정부의 이 같은 움직임은 미국과 일본 등 우방국의 위기대응 체계보다 다소 늦다는 비판이 일고 있다. 일본은 북한이 첫번째 미사일을 쏜 직후인 오전4시께 총리관저에 대책반이 구성됐으며 6시에는 아베 신조 관방장관이 긴급 기자회견을 여는 민첩성을 보였다. 노 대통령은 오전5시께 첫 보고를 받았다. 또 미국은 오전8시(우리 시간) 전후에 스티븐 해들리 백악관 안보보좌관과 토니 스노 백악관 대변인이 각각 ‘도발행위’ ‘북한 고립 자초’라는 논평을 냈으나 이 시간까지 한국은 북한의 미사일 발사에 대한 공식 브리핑조차 없었다. 입력시간 : 2006/07/05 17:34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