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미국, 씨티에 구제금융 한달도 안돼 또… '대마불사' 확인

"파산땐 금융 재앙" 당국 결국 공자금 투입<br>부실자산 많아 "밑빠진 독 물붓기" 지적도<br>지원 계기 "경영진 물갈이" 목소리 커질듯


결국은 대마불사(too big to fail)였다. 미국 금융당국은 세계 최대 금융그룹 씨티그룹이 붕괴될 경우 초래할 가공할 금융시장 충격을 우려해 공적 자금을 추가로 투입, 씨티그룹을 살리기로 결정했다. 씨티그룹은 전세계 106개국에 거래 고객이 2억 명에 이르는 '금융 제국'으로 씨티의 파산은 삽시간에 글로벌 금융 시스템의 붕괴로 연결된다. 지난 9월 글로벌 금융 위기를 촉발시킨 도화선인 리먼브러더스 파산과 비교도 안 되는 재앙을 초래한다는 것이 일반적 분석. 따라서 미 금융 당국이 파산을 방치한 리먼브러더스처럼 모럴해저드(도덕적 해이)만을 내세워 씨티그룹의 붕괴를 그냥 보고만 있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었다. 월스트리저널(WSJ)은 "씨티그룹이 베어스턴스 처럼 당장 숨넘어가는 상황은 아니지만, 금융당국이 위험한 도박을 할 여유가 없다"고 당국의 개입 배경을 설명했다. 그러나 미 재무부가 7,000억 달러의 구제금융 자금(TARP)에서 이미 250억 달러를 지원한 지 1개월도 안돼 추가로 200억 달러의 공적자금이 투입됨으로써 구제금융 제공액이 급격히 늘어난 AIG처럼 '밑 빠진 독에 물 붇기'라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미 금융당국은 씨티그룹 경영진과 지난 주말 내내 협상을 벌였다. 당초 아시아 시장이 열리는 일요일 오후(현지시간)까지 협상을 마무리할 것이라는 당초 관측과 달리 '배드뱅크'설립 방안 등 다양한 해법이 테이블에서 오르면서 난항을 겪은 것으로 전해졌다. 씨티그룹 해법은 재무부 TARP자금에서 200억 달러를 지원, 자본을 확충해주고 씨티그룹 보유 자산에 대해 3,000억 달러의 지급보증을 선다는 것으로 가닥이 잡혔다. 다만 부실 자산에 상각처리 등으로 손실이 발생되면 1차적으로 400억 달러까지는 씨티그룹이 부담하고, 그 이상의 손실에 대해서는 재무부와 연방예금보험공사(FDIC),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가 차례로 떠안기로 해 납세자 부담을 최소화하도록 했다. 미 금융당국은 경영진 교체요구는 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으나, 추가 구제금융을 계기로 경영진 물갈이에 대한 목소리가 커질 것으로 보인다. 씨티그룹의 위기는 사실 어제 오늘 일이 아니다. 지난해 여름 서브프라임 모기지(비우량주택담보대출)발 신용위기가 폭발하면서 미국 금융기관으로는 가장 먼저 적신호가 켜진 곳이 씨티그룹이었다. 씨티는 그야 말로 부실의 집산지였다. 지난해 4ㆍ4분기 98억 달러의 손실을 입은 이후 4분기 연속 적자 행진을 면치 못했고, 지난 1년간 손실액은 202억 달러에 이른다. 부실자산을 털어낸 상각처리 규모는 500억 달러에 육박하고 있다. 씨티그룹의 부실이 이처럼 눈덩이처럼 불어난 것은 구조화투자전문회사(SIV)를 통해 부외 자산을 대거 보유한데서 비롯되고 있다. 씨티그룹의 자산은 장부상 2조 달러에 이르지만, 부외자산으로 1조2,300억 달러를 보유하고 있다. 부외 자산의 상당부분은 서브프라임 모기지 채권 등 부실 자산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번 추가 구제금융을 계기로 씨티그룹의 종합백화점식 은행경영시스템인 '유니버셜 뱅킹모델'에 대한 적정성 논란이 증폭될 것으로 보인다. 씨티그룹은 이번 위기의 근본 원인이 단순한 투자 실패가 아니라 조직의 비대화와 관료화, 느린 의사결정구조 등에서 비롯된다며 유니버셜 뱅킹 모델이 한계에 봉착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비크람 팬디트 회장은 지난 주에도 사업부 분사나 계열 증권사인 스미스바니 매각 등 경영모델 수정을 고려하지 않는다고 밝혀 앞으로 진로가 주목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