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순히 박람회ㆍ전시회에 나가는 것이 아니라 현지 특성에 맞춰 독창적인 대-중기 해외동반진출 모델을 20개 가량 만들 계획입니다"
정영태(사진) 동반성장위원회 사무총장은 28일 "납품단가나 불공정거래 등은 어느 정도 개선이 되고 있지만 대ㆍ중기 협력 사업은 너무 취약하다"며 "대ㆍ중기 협력 문화를 기업별로 정착시켜나가겠다"며 대-중기 글로벌 동반진출을 도울 것이라고 밝혔다. 정 총장은 "예를 들어 현지백화점이나 홈쇼핑을 통해 대기업과 함께 진출하거나 현지 핵심유통회사와 직접 제휴를 맺어 우리 중소기업제품이 진출하는 방식이 될 것"이라며 "우수한 품질과 성능을 갖춘 중기 제품에 대해 대기업이 확보한 전세계적인 유통망을 활용해 마케팅 부담을 덜어준다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정 총장은 "공동협력 연구개발(R&D)과 같이 개별 프로젝트나 사업에 대한 협력모델을 만드는 것도 필요하다"며 " 대기업이 직접 중소기업과 함께 기술협력에 나서면 경쟁력을 끌어올리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3년차인 올해는 동반성장의 외연을 확대해 나갈 것"이라며 "제조업에서 비제조업으로, 1차 협력사에서 2ㆍ3차로, 중앙에서 지역으로 확산시키겠다"고 말했다.
특히 정 총장은 올해 의료ㆍ금융 분야까지 동반성장 문화를 확대하는 데 주력할 방침이다. 그는 "의료인력과 환자가 초대형병원으로 쏠리는 악순환을 해소하기 위해 의료기관-상급병원-종합병원-병원-의료원 간의 동반성장을 추진하고 동반성장지수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며 "대형병원과 중소 의료기기, 제약사도 전형적인 갑을관계여서 개방화 시대에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불공정문제 항목을 조사하는 중"이라고 소개했다.
금융 분야와 관련, 정 총장은 "금융권 동반성장지수 평가가 무조건 중소기업에 대한 혜택을 늘리라는 강압이 절대 아니다"며 "우리 경제의 펀더멘털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건실한 중소ㆍ중견기업에 대한 금융기관의 형평성 있는 대응을 촉구하는 차원"이라고 역설했다. 최근 논란이 큰 빵집 등 서비스업 적합업종 선정에 대해서는 "양측이 어떤 결과든 수용할 수 있도록 숙성시키는 과정"이라며" 중재하고 대안을 내 최대한 합의를 이끌어내겠다"고 언급했다.
정 총장은 인수위에서 거론되는 적합업종 법제화에 대해 "적합업종 선정 이후 대기업들이 이를 지키지 않을 경우 사업조정제도를 활용하거나 처벌하게 되면 실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했다. 이와함께 그는 "정부 R&D나 예산 등 각종 자원을 중소기업에 흘러가도록 조정ㆍ점검하는 체제를 마련해야 한다"면서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는 창조적, 혁신적, 역동적인 중소기업 중심국가로 가야하며 다만 중소기업 낙원국가는 안 된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