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20대 절반은 백수

작년 고용률 50%대로 추락


새 정부가 고용률 70% 달성을 주요 국정과제로 삼은 가운데 최근 20대 고용률이 50%대로 떨어져 청년 실업 해결이 발등의 불로 부상했다.

22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통계청 등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20~29세 고용률은 58.1%에 그쳤다. 이 가운데 남성은 57.3%, 여성은 58.8%였다.


20대 고용률은 2002년 61.3%에서 2007년 60.0%로 떨어진 데 이어 지난해에는 60% 아래로 내려왔다. 지난 10년간 20대 남성 고용률은 크게 떨어졌지만 여성 고용률은 다소 올랐다.

20대 남성 고용률은 2002년 65.2%에서 2007년 60.5%로 4.7%포인트 떨어졌고 지난해에는 57.3%로 최근 5년 동안에는 3.2%포인트 하락했다.


반면 여성 고용률은 2002년 57.9%에서 2007년 59.6%까지 올랐다가 지난해에는 58.8%로 소폭 후퇴했으나 남성보다는 상대적으로 양호한 상황이다. 20대 여성 고용률은 2010년 58.3%로 남성 고용률(58.2%)을 앞지른 뒤 이후 격차를 벌리고 있다.

관련기사



지난해 연령대별 고용률은 30대 72.7%, 40대 78.3%, 50대 72.2%로 30~50대 고용률이 70%를 웃돌고 있다. 60세 이상은 37.5%였다.

20대 고용률이 부진한 탓에 생산가능인구(15~64세) 고용률은 60%대 초ㆍ중반에서 답보 상태를 보이고 있다.

생산가능인구 고용률은 2007년 63.9%에서 지난해 64.2%로 이명박 정부 5년 동안 0.3%포인트 상승하는 데 그쳤다. 남성은 74.6%에서 74.9%로, 여성은 53.2%에서 53.5%로 각각 0.3%포인트 올랐다.

나윤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