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들을 충격에 빠뜨린 황우석 사단의 핵심에는 서울대 수의대 이병천 교수와 강성근 교수가 있다.
이 교수는 질병저항동물 생산과 이종간 장기 이식 분야를 맡고 있고 강 교수는줄기세포 분야를 이끌고 있다.
최근 스너피 복제 성공으로 주목을 받게된 이 교수는 1987년 수의학과 졸업과동시에 황 교수팀에 합류한 `창단 멤버'.
이 교수는 1993년 국내 최초 시험관 송아지 및 1999년 체세포복제 송아지 `영롱이' 등을 탄생시키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강 교수는 2002년 황 교수팀에 합류한 뒤 특정 형질을 갖는 동물을 만드는데 주력했다. DNA에 있는 특정 유전자를 제거하는 `녹아웃 기법'의 권위자인 그는 세계최초로 광우병 내성 복제소 및 장기이식용 무균돼지를 잇따라 생산해냈다.
이 교수와 강교수는 각각 청주 모 고교의 선후배 사이다.
황 교수의 논문 발표 이후 황 교수의 대변인역을 맡았던 안규리 교수는 서울대병원 신장내과 교수로 2002년 황 교수팀에 합류했다.
배아줄기세포 연구를 최종 목적지인 난치병 치료에 적용하기 위해 장기이식 후 면역거부 반응을 없애는 임상시험을 주관할 예정이었다.
이와 함께 서울대병원 산부인과 문신용 교수는 황 교수와 함께 연구팀을 큰 틀에서 조정, 관리해 왔다.
미즈메디병원 노성일 이사장과 이 병원의 김선종 연구원 등은 산부인과 전문의로서 불임치료를 통해 얻은 난자를 제공해 왔다. 김 연구원은 황 교수의 지시로 줄기세포 사진 2장을 가지고 11장으로 늘린 것으로 알려졌다.
이밖에 한양대병원 해부세포생물학실 윤현수 교수, 고려대 생명유전공학부 김종훈 교수 등은 줄기세포 분화ㆍ배양 연구에, 가톨릭의대 신경외과 전신수 교수, 서울대병원 흉부외과 김영태ㆍ이정렬 교수 등은 임상분야에 관여했다.
박기영 청와대 정보과학기술 보좌관은 정부와 황교수를 잇는 가교역할을 해왔다.
박 보좌관은 식물학자이면서도 자신의 전공과 전혀 상관없는 황 교수의 연구에생명윤리에 관해 자문했다는 이유로 2004년 사이언스 논문에 공저자로 이름이 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