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미금리 0.5%P 올리면 외채이자 1억3,000만달러 증가

한국은행은 1∼2일 열리는 미국 FOMC 회의와 관련, 우리나라의 외채구조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추정됐다고 2일 밝혔다.한은은 작년 11월말 현재 우리나라 총외채 1,357억달러 가운데 변동금리부 채무가 차지하는 비중(총외채의 75% 추산)과 미 달러화 채무 비중을 동시에 고려해 이같은 추정치를 얻었다고 설명했다. 먼저 미국이 금리를 0.25%포인트 또는 0.5%포인트 올리면 우리나라의 대외채무에 의한 외채이자 부담은 연간 각각 2억1,000만달러, 4억1,000만달러 늘어난다. 그러나 금리가 인상되면 외환보유액 등 대외채권 보유에 따른 이자수입도 늘게되는데 그 규모는 미금리가 0.25%포인트 인상되면 연간 1억4,000만달러, 0.5%포인트 인상되면 2억8,000만달러 증가된다. 이에 따라 전체적으로 보면 미 금리가 0.25%포인트 인상되면 연간 7천만달러, 0.5%포인트 인상되면 연간 1억3,000만달러의 순대외이자 지급부담이 생긴다. 한편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는 1∼2일 FOMC를 열고 인플레이션 압력에 대처하고 경기 연착륙을 유도하기 위해 연방기금 목표금리를 0.25%포인트 또는 0.5%포인트 인상할 것으로 예상된다. 온종훈기자JHOHN@SED.CO.KR

관련기사



온종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