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韓中日 바둑영웅전] 은발의 전신

서봉수의 패착 ‥제5보(75~100)

[韓中日 바둑영웅전] 은발의 전신 서봉수의 패착 ‥제5보(75~100) 원래 우하귀는 굳힘 가운데 가장 공고하다는 소목의 날일자굳힘 형태로 최소한 10집을 품고 있다는 것이 정설로 되어 있다. 그러나 그 형태도 좌우에 백돌이 놓이면 상황이 달라진다. 백76에서 84까지 서봉수는 귀를 도려냈을 뿐만 아니라 외곽의 흑돌을 곤마로 띄워버렸다. 흑은 두눈 내고 살기가 아주 어렵게 되었다. 흑이 믿는 것은 우하귀의 백이 아직 완생은 아니라는 사실. 흑이 가에 두면 백은 패로 살아야 한다. 문제는 백보다 흑이 그 패의 부담을 훨씬 크게 갖고 있다는 사실이다. 백은 부피가 적으므로 다 잡혀도 그리 큰 타격을 입지 않지만 흑은 자칫하다가는 외곽의 거대한 대마가 비벼볼 언덕도 없이 그대로 절명할 형편이다. 박영훈은 가에 당장 착수하는 것을 보류하고 일단 자기 말의 바깥수를 늘리기 위해 87, 89로 움직였다. 그런데 이 장면에서 서봉수의 어이없는 실착이 등장했다. 우하귀의 백이 아직 덜 살아있다는 점에 신경이 쓰인 서봉수는 그쪽과의 연결고리를 만들어둘 심산으로 94를 두었는데 이 수가 패착이나 다름없었다. 흑이 95로 붙이는 순간 흑대마는 자체로 사는 수가 생겼다. 백96, 98의 굴복은 절대. 참고도의 백1로 두면 흑2 이하 16으로 둘 때 차단할 수가 없게 된다. 94로 95의 자리에 두었더라면 백의 필승국이었는데…. /노승일ㆍ바둑평론가 입력시간 : 2004-07-04 18:58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