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유럽 위기로 국내 금융시장 변동성 커질수도"

재정부 "외국인 자금 유출입 모니터링 강화할 것"

정부가 유럽 재정위기에 따라 국내 금융ㆍ외환시장의 변동성이 커질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놓았다. 기획재정부는 21일 국제통화기금(IMF)의 '유로지역 스필오버(spill overㆍ확산) 리포트'를 인용, "유로존의 재정위기가 유로지역 중심국으로 확산될 경우 세계 경제에 심각한 스필오버를 발생할 우려가 있다"며 이같이 전망했다. 재정부는 유로지역 스필오버 가능성에 대비해 "외국인 자금유출입 등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겠다"며 "거시경제도 안정적으로 운용하고 재정건전성을 유지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재정부는 "유로지역 금융시장의 변동성은 전세계 금융시장 리스크의 21%를 차지한다"며 "(유럽재정위기 확산시) 미국ㆍ일본 금융기관까지 리스크가 전이될 수 있다"고 전했다. 또 유로지역 스필오버 영향을 크게 받을 수 있는 주요20개국(G20) 국가로는 러시아ㆍ영국ㆍ터키ㆍ사우디아라비아 등의 순서로 꼽았다. 재정부는 "재정위기가 유로지역 전체로 확산되면 채권금리 급등과 대규모 디레버리징 등 여타 지역까지 대규모 스필오버가 발생할 수 있다"며 "특히 유로지역 주요 은행에 디스트레스(distress) 발생시 다른 지역 은행에 디스트레스가 발생할 가능성이 40% 이상 급증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재정부는 다만 은행 자본요건이 강화됨으로써 일시적으로 디레버리징을 초래할 수는 있지만 금융시스템 건전성 강화 등으로 전체적인 스필오버는 완만할 것으로 예상했다. 또 교역자유화 확대를 통해 유로지역 관세를 50% 낮출 경우 타국의 유로지역 수출은 1% 이상 늘어날 것이라고 추정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