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순익 10조원 시대 연 삼성전자

삼성전자가 지난해 매출 57조6,324억원에 10조7,867억원의 순이익을 올려 세계 일류기업의 징표라고 할 100억달러 순익시대를 열었다. 국내기업이 10조원대의 순이익을 낸 것은 삼성전자가 처음이다. 아세아에선 최근 일본 도요타(豊田)자동차가 10조원대 순이익을 기록해 세계 자동차업계의 선두 주자임을 과시한 바 있다. 경제불황 속에 일궈낸 삼성전자의 이 같은 실적은 명실상부한 세계 일류 기업임을 입증하는 것이다. 삼성전자의 ‘순익 100억달러 클럽’ 가입은 경제불황과 치열한 경쟁 속에서 달성했다는 점에서 더 값지다. 지난해 안으로는 내수침체와 원高, 밖으로는 고유가ㆍ원자재난ㆍ중국의 긴축정책ㆍIT제품 가격하락 등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 지난해 3분기까지 이어오던 순이익 2조원대가 4ㆍ4분기엔 1조8,000억원대로 줄어든 것이 이를 상징적으로 말해주고 있다. 올해도 시장여건은 크게 달라진 것이 없어 다시 한번 분발이 요구된다. 삼성전자가 이처럼 세계일류 기업대열에 들어서게 된 것은 꾸준한 설비투자와 인재양성을 통한 기술개발 등 공격적 경영을 했기 때문에 가능했다. 삼성전자의 반도체분야 등에서의 기술개발엔 어김없이 ‘세계 최초’란 수식어가 따라 다녔다. 최근 한국경제는 삼성전자의 IT산업분야 기술개발에 따라 웃고 울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기술한국’을 선도해왔다. 그만큼 외국기업의 경계대상이 되기도 했다. 삼성전자는 이제 자타가 공인하는 세계 일류기업이 됐으나 초일류기업으로 가려면 아직도 갈 길이 멀다. 100억달러 클럽가입을 계기로 다시 한번 자세를 가다듬어야 한다. IT산업분야의 기술변화는 하루가 다르고 경쟁도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다. 중국의 도전은 물론 일본ㆍ미국 등 선진국 기업들과의 경쟁을 극복하야 한다. 그러자면 인재 양성 및 연구개발 투자를 늘리고 때를 놓치지 않는 시설투자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지금까지 그랬듯이 도전정신을 바탕으로 공격적 경영자세를 잃지 않는 것이 세계 초일류기업으로 도약하는 길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