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스팩 상장요건 완화 추진

스팩(SPAC · 기업인수목적회사)을 통한 우회상장이 앞으로 쉽게 이뤄질 수 있을 전망이다. 23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 한국거래소(KRX)는 스팩이 합병 대상기업의 가치를 산정할 때 적용하는 자본환원률을 지금보다 낮추는 방식을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를 위해 금융위 등은 자본환원률을 현행 10%에서 더 낮추고 스팩 합병에 반대하는 투자자에게 부여하는 주식매수청구권 행사가를 정할 때 순자산가치(NAV)를 기준으로 하는 등의 방안을 논의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자본환원률이란 비상장사의 기업가치를 평가하는 지표로 비율이 높으면 기업가치가 낮은 것으로 나타난다. 비상장기업들은 자본환원률이 지난해 5%에서 10% 높아진 후 스팩을 통한 상장을 꺼려왔다. 금융당국과 유관기관 등 복수의 관계자는 “기업들이 스팩을 통해 상장을 꺼리게 되면서 스팩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제도 개선안을 올해 안에 내놓고자 논의를 진행 중”이라며 “자본환원율 조건 완화와 투자자보호를 위한 방안 등을 광범위하게 다루고 있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