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서울銀 장기표류 '부실 눈덩이'

금감위 "국내 우량銀과 M&A 긍정검토"서울은행 경영정상화의 장기 표류가 2차 금융구조조정을 앞둔 금융계의 최대 골칫덩이로 부상했다. 정부가 국제통화기금(IMF)과의 합의에 따라 추진해온 해외매각및 위탁경영 방안이 해외파트너측의 냉담한 반응으로 원점회귀한 데다, 외국경영자(CEO)영입도 난항을 겪고 있다. 이로 인해 지난 2년간 두차례에 걸쳐 총 6조2,343억원의 공적 자금이 투입된 서울은행은 심각한 경영공백 상태와 영업위축으로 부실규모가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정부가 서울은행에 천문학적인 공적자금을 투입하고도 안이하게 대응, 사태를 악화시키고 있다는 비판도 많다. 미궁에 빠진 정상화 정부는 IMF체제후 2년간 서울은행 회생을 위해 외국금융기관에 팔거나 외국경영자에게 위탁경영시키는 방안등 다양한 해법을 모색했지만 아무런 진전이 없는 상태. 99년 2월 영국계 HSBC와 서울은행 매각을 위한 양해각서까지 체결했지만, 자산재평가 문제 등으로 협상이 결렬된 후 일부 외국금융기관과 추진했던 위탁경영 방안도 수포로 돌아갔다. 금감위는 세번째로 외국계경영자 영입에 나섰지만 적임자를 찾지 못해 골머리를 앓고 있다. 공적자금투입도 ‘밑빠진 독에 물붓기’다. 98년1월 1조5,000억원, 99년9월 3조3,201억원을 쏟아붓고, 자산관리공사를 통해 부실채권 4조5,282억원을 매입했으나 아직까지 별다른 성과를 내지못하고 있다. 다만 미국의 뱅커스트러스트와 독일의 드레스드너방크와 합병해 세계최대 은행으로 부상한 도이체방크가 서울은행에 대한 기술지원(IT)의사를 밝힌 것이 막판 변수. 금감위 고위관계자는 “현재론 도이체방크가 서울은행에 대한 경영참여는 고사하고 있다”면서도 “도이체방크에 대해 지분참여 또는 위탁경영여부를 타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국내 우량은행에 매수합병론 부상 서울은행 처리가 지지부진해지면서 국내은행에 의한 서울은행 인수합병(M&A)론 또는 짝짓기 방식도 전문가들 사이에서 제기돼 주목된다. 해외매각은 현실적으로 어렵고, 자산부채이전(P&A)방식에 의한 정리및 폐쇄등도 공적자금 투입비용을 감안할 때 실현가능성이 낮기 때문이다. 이용근(李容根)금감위원장도 “경영자 영입과 매각등이 불가능해질 경우 국내은행과의 매수합병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의춘기자 ECLEE@HK.CO.KR 입력시간 2000/03/20 18:12

관련기사



이의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