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현대硏 ‘중국 부동산발 성장둔화 충격 대비해야’

중국의 부동산발 리스크가 확대돼 금융권으로 전이되고 이것이 성장둔화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우리나라도 충격에 대비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현대경제연구원 한재진 연구위원과 천용찬 연구원은 10일 ‘중국 부동산발 금융위기 요인 점검’ 보고서에서 ‘중국 부동산발 리스크가 금융시장 불안으로 전이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며 이처럼 분석했다.

보고서는 “중국 주택가격이 8개월 연속 둔화하는 가운데 부동산발 리스크 확대 조짐이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다”며 “중국정부의 그림자금융 규제 강화 등과 맞물려 금융권으로 위험이 옮겨갈 수도 있다”고 진단했다.


중국 주거용 주택의 2·4분기 신규 착공면적은 전 분기 대비 14.5% 감소했으며 상업용 주택 착공면적이 0.2% 증가하는 데 그쳤다. 주거용 신규 판매 면적도 같은 기간 9.3% 감소했다.

관련기사



또 전체 소득대비 주택가격 비율(PIR)은 베이징, 상하이 등 대도시를 중심으로 확대되는 등 부동산 버블 우려는 심화되고 있다.

하지만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1·4분기 현재 10조5,200억 위안으로 2005년말 대비 6배 증가했으며, 상업은행의 가계 불량대출 중 부동산 대출 비중이 30%를 웃도는 상황이다.

보고서는 “중국 부동산 시장은 수급약화, 대도시의 버블 심화, 주거용 주택의 공실면적 확대, 지방재정 악화, 부동산 부실 대출 확대 등 리스크가 지속적으로 확대되는 추세”라며 “부동산 경기침체가 투자·소비 등 실물경제 회복 지연에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고 전망했다.

보고서는 이어 “한국도 중국의 성장 둔화에 따른 대응책 마련이 필요하다”며 “국내 소비시장 위축을 막고 대중 수출의존도가 높은 산업에 대한 대체 활로 개척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제언했다.

/디지털미디어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