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생활폐기물 에너지화 광역화사업 추진

나주시등 2,600억 투입

전남 나주혁신도시ㆍ순천시ㆍ곡성군이 생활폐기물 에너지화 사업의 광역화 모델을 국내 처음으로 선보인다. 광역화 모델이란 생활폐기물을 수거ㆍ전처리해 고형연료(RDF)로 만드는 시설은 지방자치단체들이 각자 갖추되 RDF를 연료로 사용하는 열병합발전소는 한 곳(나주)에 짓는 방식이다. 전라남도와 나주시는 26일 환경부ㆍ한국지역난방공사ㆍ한국환경자원공사와 협력 합의서를 맺고 2012년까지 2,600억원의 사업비를 투입해 생활폐기물 에너지사업을 추진한다고 25일 밝혔다. 이 사업은 나주ㆍ순천ㆍ곡성 등 3개 지방자치단체에서 발생하는 하루 400톤의 생활폐기물을 선별ㆍ가공해 하루 200톤의 고형연료를 생산, 발전 연료로 사용해 나주혁신도시 지역난방 에너지 수요(337,298Gcal)의 38%를 충족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연간 2만 가구가 사용하는 61만여㎿의 전기를 생산하고 석유 수입대체 효과, 탄소배출권 거래 수입도 올릴 것으로 기대된다. 환경부는 생활폐기물 전처리시설의 경우 여러 지자체가 광역사업을 벌이면 건설비용의 50%를 지원한다. 현재 부산광역시와 진해시도 부산 강서구 생곡동매립장에 비슷한 방식의 폐기물 에너지화 사업을 추진 중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