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이명박 당선자 26일께 국정구상 발표

인수위장 후보들 만나 의견나눠<br>인수위장에 정치권 인사 깜짝발탁 가능성도<br>대운하·공공개혁 수행 별도 TF 설치할듯<br>당정 관계·특검·총선 대응전략 담길지 주목

이명박 대통령 당선자가 지난 22일 서울 청와대 인근 안가 내 테니스장에서 지인들과 테니스를 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오는 26일 이명박 대통령 당선자의 정국구상 보따리가 풀릴 예정이다. 당초 정국구상안이 이르면 24일 발표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지만 이틀 정도 늦춰진 셈이다. 이 당선자로서는 대통령직인수위원장 선임 등을 담은 정국구상안이 차기 정부의 성격을 처음으로 규정하는 만큼 신중에 신중을 기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특히 정국구상에는 인수위의 윤곽뿐 아니라 앞으로 정국을 주도적인 입장에서 이끌어가기 위한 당 차원의 개혁방안이 담길 것으로 전해졌다. 무엇보다 안정적인 국정운영에 필수적인 원내 다수의석 확보방안으로 물갈이 공천을 통한 인적청산 방안을 내놓을지도 관심사다. ◇인수위원장 선임 등 인수위 발표=26일 발표될 정국구상의 핵심은 인수위원장 선임 등 인수위의 대략적 골격이다. 이 당선자는 지난주 말 인수위원장 물망에 오른 중요 인사들과 직간접적인 접촉을 갖고 정책노선 등에 대한 의견을 나눈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나경원 한나라당 대변인은 23일 “26일께 대통령직인수위 위원장ㆍ부위원장 및 당선자 대변인, 비서실장 등을 포함한 인수위 골격을 내놓을 것으로 본다”고 전했다. 인수위원장 후보로는 이 당선자가 인수위원장 자격 요건으로 밝힌 ‘경제 마인드를 갖춘 비정치인’에 부합하는 정운찬 전 서울대 총장, 손병두 서강대 총장, 이경숙 숙명여대 총장, 윤진식 전 산업자원부 장관, 안병만 전 한국외국어대 총장, 한승주 고려대 총장서리, 어윤대 전 고려대 총장 등이 거명되고 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이 당선자의 정책방향을 잘 이해하고 있는 박희태 전 국회부의장 등 정치권 인사들이 깜짝 발탁될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 인수위는 ▦경제정책을 기획하는 경제1분과 ▦집행을 맡은 경제2분과 ▦정무 ▦외교ㆍ통일ㆍ안보 ▦사회ㆍ문화 ▦총괄기획 등 6개 분과로 구성될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이 당선자의 대표 공약인 ‘한반도 대운하’와 ‘공공개혁’의 임무를 수행하기 위한 태스크포스가 별도로 설치될 것으로 보인다. 인수위 참가인원은 노무현 당선자 시절의 3분의1 수준인 100여명 규모로 위원장이 비정치인일 경우 부위원장은 정치인을 배치해 조직 내부의 균형을 잡을 것으로 전해졌다. 당선자를 보좌할 비서실장 후보로는 박형준ㆍ정종복 의원 등이 유력하게 떠오르고 있다. 임태희 현 실장의 유임설도 나오고 있다. 이 당선자는 26일 인수위 윤곽과 함께 첫 내각 구성에 대한 구상을 밝혀 차기 정권의 색깔을 분명히 드러낼 것으로 보인다. ◇당정관계ㆍ특검ㆍ총선대책 등도 마련=정국구상 발표로 내년 4월 총선을 앞둔 한나라당의 운영방향도 가닥이 잡힐 것으로 예상된다. 무엇보다 이 당선자는 원내 다수의석 확보방안을 고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공천권을 둘러싼 당권과 대권 분리와도 연계돼 있어 주목된다. 당내에서는 이미 이 당선자 측과 박근혜 전 대표 측 간에 당권ㆍ대권 분리 폐지 여부를 두고 미묘한 신경전을 벌이는 상황이다. 특히 현정권의 문제점으로 자주 거론되는 당정협의 강화방안도 나올 것으로 전망된다. 또 내년 1월부터 본격화되는 ‘이명박 특검’에 대한 대응전략을 내놓을지 여부도 눈여겨봐야 할 대목이다. 이와 관련, 이 당선자는 이르면 27일로 예정된 노 대통령과의 회동을 앞두고 ‘차질 없는 차기 정부 출범’을 명분으로 노 대통령에게 이명박 특검에 대해 거부권을 행사해줄 것을 거듭 요청할 것으로 보인다. 만약 노 대통령이 26일 국무회의에서 특검을 계획대로 의결할 경우 이 당선자는 적지않은 정치적 부담을 떠안을 것이 확실하기 때문이다. 한나라당의 한 관계자는 “원내 1당의 지위를 가진 대통합민주신당 측이 정치투쟁에 나설 경우 총리 및 각료 인준조차 불투명해져 이 당선자의 집권 초반이 더욱 힘들어진다”며 “특히 대선패배에 따른 여권 내 분열이 현실화될 경우 우군을 확보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