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 하락이 국민소득 증가의 결정적 요인으로 작용했다. 환율 효과를 제외하고 나빠진 분배 지표를 고려하면 경제 성장의 과실을 상위층만 누리는 셈이다.
25일 금융권에 따르면 올해 국민총소득(GNI) 추계치를 인구로 나눈 1인당 국민소득은 2만4,044달러가 될 것으로 보인다.
1인당 국민소득은 2007년 2만1,632달러로 ‘2만달러 시대’를 열었으나 2008~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탓에 2만달러 아래로 주저앉았다.
2010년 다시 2만달러를 회복한 1인당 국민소득은 2011~2012년 2만2,000달러에서 횡보하다가 올해 2만4,000달러로 약 5.9% 늘어나는 것이다.
올해 1인당 국민소득이 비교적 큰 폭으로 늘어나는 요인은 경제규모를 보여주는 국내총생산(GDP)의 증가와 원·달러 환율의 하락이다.
올해 GDP 증가율(2.8%)에 대한 한국은행의 전망치와 1~10월 환율을 바탕으로 예상한 연평균 환율(달러당 1,095원)이 적용됐다.
GDP가 증가해 ‘파이’가 커지고, 환율이 지난해 1,102원에서 올해 1,095원으로 하락함에 따라 달러화로 환산한 GNI가 더 늘어난 결과다.
인구가 5,022만명으로 지난해보다 0.43% 늘어나는 데 그친 것도 1인당 소득 증가에 도움이 됐다.
이근태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올해 1인당 국민소득이 늘어난 데는 GDP 효과가 3.3%, 환율 효과가 2.9%”라며 환율 효과가 약 절반을 차지한다고 설명했다.
1인당 국민소득은 어디까지나 평균 개념으로, 모든 국민이 동등한 소득 증가 효과를 누리는 것은 아니다.
소득분배 지표(5분위 배율)를 보면 올해 9월 말 현재 고소득층(5분위 계층)의 가처분소득이 저소득층(1분위 계층)의 5.05배로, 지난해의 4.98배보다 커졌다.
부채 측면에서도 5분위 가구의 부채가 3월 말 1억3,721만원으로 1년 전보다 줄어든 사이 1분위 가구의 부채는 3월 말 1,246만원으로 24.6% 늘었다.
전문가들은 올해 우리나라의 1인당 소득이 늘긴 하겠지만, 성장잠재력 저하와 경제의 구조적 문제로 증가 속도가 둔화해 3만달러 진입이 늦어진다고 지적했다.
/디지털미디어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