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족집게 증권사 한국투자증권

대형사 작년 실적 전망 가장 높은 적중률 보여

IBK·SK증권이 뒤이어

한국투자증권이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대형사들의 지난해 실적 전망에서 가장 적중률이 가장 높았던 것으로 분석됐다.

8일 서울경제신문이 금융정보업체 와이즈에프엔에 의뢰해 코스피 시가총액 상위 20개 종목의 지난해 영업이익에 대한 국내 증권사들의 전망치와 실제 실적과의 괴리율을 조사한 결과 한국투자증권이 삼성전자(005930)·KT&G·SK이노베이션(096770) 등 3개 기업의 전망치에서 적중률 1위를 차지했다. IBK투자증권(LG·LG생활건강)과 SK증권(001510)(LG화학(051910)·SK C&C), 한화투자증권(003530)(현대차·기아차)이 각각 2개 기업의 전망치에서 실제 실적과 가장 근사치를 기록하며 그 뒤를 이었다.


증권사들이 예측한 영업이익의 평균치인 컨센서스와 실제 실적과의 괴리율이 가장 큰 종목은 지난해 유가 급락의 여파로 사상 최악의 어닝쇼크를 기록한 SK이노베이션이었다. 증권사들은 SK이노베이션의 지난해 영업이익을 1조8,256억원으로 예상했지만 실제 뚜껑을 열어보니 37년 만에 2,241억원의 적자를 기록하며 무려 914.5%의 괴리율을 나타냈다. 유가 변동의 영향을 많이 받는 LG화학 역시 증권사 컨센서스와 실제 영업이익의 괴리율이 56%를 기록했으며 지난해 스마트폰 사업이 부진했던 삼성전자도 50.4%의 격차를 보였다.

관련기사



이를 반영하듯 한국투자증권은 삼성전자(37.3%)와 SK이노베이션(558.7%)의 지난해 영업이익 전망에서 국내 증권사 중 가장 근사치를 내놓았지만 괴리율이 적지 않아 빛이 바랬다.

반면 증권사 컨센서스와 실제 실적과의 괴리율이 가장 적었던 종목은 삼성물산(000830)(1.7%), 네이버(2.6%), 한국전력(015760)(3.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를 통해 드러난 흥미로운 사실은 상대적으로 대형 증권사에 비해 중소형 증권사의 실적 예측 실력이 더 돋보였다는 점이다. 실제로 적중률 순위 2위를 기록한 IBK투자증권과 SK증권·한화투자증권 모두 자기자본 기준 국내 10대 증권사에 들지 못하는 곳이었다. 또 1% 미만의 괴리율을 기록한 LIG투자증권·KTB투자증권(030210)·유안타증권(003470)·유진투자증권·동부증권 등도 대형 증권사와는 다소 거리가 멀었다.

증권업계의 한 관계자는 "기업을 대상으로 한 영업에 주력하는 일부 증권사의 경우 대형 상장사들에 대해 낙관적인 실적 전망을 내놓는 경우가 적지 않다"며 "결국 대형 상장기업에 대한 증권사의 실적 전망 적중률이 통상적인 증권업계 순위와는 무관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김현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