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경기도, 시세의 70% 수준 '경기도형 임대주택'공급

경기도가 민간투자방식으로 도유지와 시유지 등 공유지에 임대주택을 지어 시세의 70% 수준으로 공급한다.

남경필 경기도지사는 22일 경기도청 신관 재난상황실에서 열린 시군 부단체장회의에서 경기도형 임대주택인 ‘따복마을’ 공급계획을 밝히고 시군의 적극적인 동참을 당부했다.


따복마을 사업은 전국 최초로 시도되는 민관합동 프로젝트로, 민간이 설계단계부터 시공, 주거서비스까지 참여하게 되는 거버넌스형 주거복지 모델이다.

남 지사가 지난 6·4 지방선거에서 핵심공약으로 내걸었던 따복마을은 ‘따뜻하고 복된 마을 공동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따복마을은 경기도가 보유한 도유지, 시가 보유한 시유지 등 공유지에 짓는 임대주택이다. 이에 따라 공유지에 주택을 짓는 만큼 토지비를 절감하고 이를 통해 시세의 70% 이하 수준의 저렴한 공급이 가능하다는 게 도의 설명이다.

관련기사



도는 임대주택의 부정적 인식을 불식시키고, 나아가 지역의 랜드마크로 주목받을 수 있도록 유수의 건설사를 참여시키는 민관합동 추진방식을 채택해 고품질의 주택을 지을 방침이다. 입주대상은 주거비 부담으로 어려움을 겪는 대학생, 중소기업 장기근로자, 사회 초년생 등 청년세대를 비롯해 신혼부부, 고령자 같은 주거복지 취약계층이다.

경기도는 도유지와 시유지 등 공유지 규모가 택지에 비해 작고, 입지조건이 모두 달라서 입지 상황에 맞게 대상자를 선정해 입주시킬 예정이다.

산업단지 주변의 따복마을에는 중소기업 장기근속자를, 병원 주변에는 노인 등 건강 취약계층을 입주시키는 방식이다.

경기도는 공모를 통해 스타트업(초기 벤처기업), 청년층 전용 공동연구소, 신혼부부 전용 육아시설 등 민간의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접목된 커뮤니티 시설도 도입하기로 했다.

도는 적합한 공유지를 찾는 대로 사업부지별로 공모해 민간건설사를 선정한 뒤 이르면 내년 초에 첫 번째 따복마을 프로젝트를 진행할 예정이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