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미래부, 이산화탄소 포집기술(CCS) 개발에 230억 투입

정부가 ‘이산화탄소 포집과 처리기술(CCS)’ 개발에 230억원을 투입한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올해 CCS 개발에 지난해 150억원보다 80억원 늘어난 230억원을 투자하기로 했다고 19일 밝혔다. 사업별 예산은 포집 112억원, 저장 62억5,000만원, 전환 38억원, 기반조성 17억5,000만원 등이다.

관련기사



CCS는 화력발전소와 산업공정에서 발생한 대량의 이산화탄소를 대기로 배출시키기 전에 고농도로 포집한 후 압축해 안전하게 저장하는 기술로,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이 시장이 2050년께 연평균 84조원 규모로 확대될 것으로 보고 있다.

미래부는 CCS 시장 선점을 위해 2011년 CCS 거점기관으로 한국이산화탄소포집및처리연구개발센터(KCRC)를 설립하고 원천 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코리아 CCS 2020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미래부는 “혁신적 CCS 원천기술개발로 세계 1등의 CCS 기술력을 확보하는 것이 최종 목표”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