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환율하락세 고착화에 대응력 높여야

원ㆍ달러 환율이 심리적 저항선으로 인식돼온 1,100원선 아래로 떨어지면서 환율하락(원화가치 강세)이 추세화 조짐을 보이고 있다. 환율이 1,000원대에 진입한 것은 30개월 만에 처음이며 대내외 경제여건을 감안할 때 당분간 하락세가 계속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환율하락은 수입물가를 떨어뜨려 전반적인 물가안정의 긍정적 효과도 있지만 수출경쟁력과 경상수지 악화 요인으로 작용하는 양면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환율하락의 부정적 측면을 최소화하기 위한 대응이 요구된다. 환율하락은 미국의 양적 완화 조치 지속에 따라 세계적으로 달러화가 약세를 보이고 있는데다 우리 수출의 호조와 함께 증시에서의 외국인 순매수세 등 달러유입 급증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1ㆍ4분기 수출은 중동사태와 고유가 등 악재 속에서도 1,318억달러에 달해 분기별 최대 실적을 올렸다. 증시에서 외국인들은 일본 대지진 이후인 지난달 15일부터 3조5,645억원의 순매수를 기록했다. 이는 일본 지진으로 인한 국내 기업의 반사이익 등 실적에 대한 기대감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지금 우리 경제의 가장 큰 과제가 물가안정이라는 점에서 환율하락을 꼭 부정적으로 볼 일은 아니다. 에너지와 원자재의 수입가격을 떨어뜨려 물가안정에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물가안정을 위해 환율하락을 용인하는 정책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만만치 않다. 외환보유액이 3,000억달러에 달한다는 점에서 외환시장 개입도 부담스러운 실정이다. 이에 따라 환율이 1,050원선까지 떨어지고 중장기적으로 1,000원대에서 유지될 가능성이 있다는 예상도 나오고 있다. 문제는 하락속도다. 단기간에 지나치게 떨어질 경우 기업들의 수출경쟁력이 약화되고 경상수지에도 악영향을 미친다. 환율이 10% 하락하면 수출은 0.54%포인트 감소하고 경제성장률은 0.72%포인트 둔화되며 환율이 1,100원 이하에서는 10원씩 떨어질 때마다 경상수지 흑자는 평균 4.4% 감소할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런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서는 우선 환율의 급격한 변동을 막기 위한 정책이 필요하다. 기업들은 원가절감ㆍ생산성 향상을 통한 경쟁력 강화 노력과 함께 환리스크 관리능력을 높여나가야 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