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고유가시대' 소형 열병합발전 뜬다

전기는 물론 난방까지도 해결, 에너지費 30% 이상 절감 가능<BR>투자비회수기간 평균 4년정도 아파트·빌딩·병원등 도입 늘어


열병합발전을 이용하면 초기 투자비가 만만치 않지만 4년 내에 투자비를 건지며 30% 정도 에너지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서울 사당동 극동아파트 단지도 열병합발전을 도입한 대표적인 곳이다. 아래 사진은 발전기.


열병합발전기는 전기를 생산, 공급하면서 버려지는 폐열도 회수해 난방등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고효율 에너지 절약시스템이다. LG강남타워도 열병합발전을 하고있다.

고유가로 기름값이 하루가 다르게 뛰면서 에너지비용 부담이 서민가계의 최대 위협요소로 자리잡았다. 에너지비용 다이어트가 자연스럽게 관심을 끌자 전기와 열을 동시에 생산, 이용할 수 있는 열병합발전이 주목 받고 있다. 열병합발전기는 전기를 생산, 공급하면서 버려지는 폐열도 회수해 난방등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고효율 에너지 절약시스템이다. 열병합발전기를 도입하면 전기와 난방을 대부분 자체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최근엔 다양한 용량의 소형 열병합발전기가 개발돼 일정한 세대이상의 아파트단지, 에너지 소비가 많은 병원, 빌딩 등에서 도입이 늘고 있다. 특히 지난해까지 소형 열병합발전기를 도입한 곳의 3분의2 이상을 차지하는 아파트 단지의 관심이 높다. 초기 투자비가 만만치 않지만 소형 열병합발전기를 도입한 아파트 단지ㆍ병원ㆍ빌딩 등 사업자 대부분이 전기와 난방을 자체 해결, 4년 내에 투자비를 건지며 30% 가량 에너지비용을 절감하는 이득을 얻고 있다. 정부도 소형 열병합발전이 에너지이용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환경 오염을 줄이는 등 다방면에서 효과가 커 장기저리의 융자금을 지원하는 등 보급에 적극적이다. ◇열병합 발전기 도입조건ㆍ방법= 전문가들은 30평 기준으로 300세대 이상의 아파트 단지는 열병합발전 도입을 고려해 볼만 하다고 추천한다. 세대수가 많을수록 경제성은 커지게 된다. 또 개별난방 보다는 중앙난방을 채용하고 있는 아파트 단지가 경제성 확보에 용이하다. 따로 배관망을 설치하지 않아도 돼 투자비가 적기 때문이다. 기본 조건이 맞으면 에너지 절약사업을 전문으로 하는 ESCO(에스코ㆍEnergy Service Companyㆍ하단기사 참조)업체에 경제성 검토 등을 의뢰하는 것이 좋다. 전문기업의 무료 상담을 받을 수 있을 뿐 아니라 도입 타당성이 있으면 투자비 조달과 이익분배를 통해 윈-윈(Win-Win) 할 수 있다. ESCO업체는 아파트 주민들 대신 열병합발전기 도입비용을 치루는 대신 줄어드는 에너지비용을 주민들과 일정 비율로 나눠 갖게 된다. 정부는 ESCO업체의 발전기 도입에 드는 투자액을 장기저리로 대출, 지원해준다. ◇에너지비용 30% 줄였다 =에너지관리공단이 서울 21개 및 경기 11개 등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등 전국 48개 아파트 단지 4만5,500세대(12~66평형)를 대상으로 열병합발전기 도입 전ㆍ후의 에너지 사용량을 분석해 본 결과 도입 후의 에너지비용이 도입전보다 평균 32% 줄어들었다. 열병합발전기의 가동을 위해 연료비 지출은 증가했지만 자가 발전으로 전기료가 대폭 감소했기 때문이다. 공단의 한 관계자는 “세대당 에너지 비용을 연간 약 20~60만원 줄이면서 투자회수기간은 평균 4년 정도 여서 다수의 아파트 단지가 열병합발전을 통해 경제성을 누릴 수 있을 것으로 조사됐다”고 설명했다. 실제 지난 2003년 248㎾급 열병합발전기 2대를 도입한 서울 상도동 건영아파트는 지난해 연평균 12억원에 달하던 에너지 비용을 7억원으로 줄여 발전기 설치 정부지원금을 상환하고도 입주자들에게 1억원 가까운 실질적인 관리비 절감 혜택이 돌아갔다. 총 824세대의 에너지비용이 가구당 연간 60만원 가량 줄어든 셈. 아울러 24시간 충분한 난방 공급이 가능해 따뜻하고 쾌적한 생활을 즐길 수 있다. 정부 역시 에너지절약과 함께 분산형 발전설비 보급 확대로 안정적인 전력수급을 도모할 수 있고 청정에너지 사용에 따른 환경개선 등 1석3조의 효과를 누릴 수 있다. 타당한 열병합발전 도입은 이처럼 경제 주체인 정부, 가계, 기업 모두에게 혜택이 돌아가지만 사업 추진의 전제인 주민동의가 가장 큰 장애물이다. 재건축사업 만큼이나 여론수렴 및 사업추진이 쉽지않다고 ESCO기업과 정부 관계자들은 토로한다. 산업자원부의 한 관계자는 “민주적으로 의견을 수렴할 수 있도록 관련규정 정비를 진행 중이지만 대화와 타협, 제도적 절차에 따른 의견수렴 및 수용 등 성숙한 시민의식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