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中東 리스크 다시 고조

유엔 안보리, 이란 추가 제재 결의안 채택<br>핵관련 개인·기관등 28곳 추가 자산동결<br>이란 "압력·협박으로 정책 못바꿀것" 반발<br>석유금수 제외로 유가 영향은 제한적 일듯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15개 회원국 대표들이 이란에 대한 추가 제재 결의안을 손을 들어 만장일치로 통과시키고 있다./유엔본부=AP연합뉴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24일(현지시간) 우라늄 농축중단 요구를 거부한 이란에 대한 추가제재 결의안(1747호)을 만장일치로 채택했다. 이에 대해 이란은 핵 활동을 중단할 뜻이 없다고 밝혀 중동 리스크가 고조되고 있다. 국제 유가 전문가들은 이란 핵 위기는 최근 안정세를 보이고 있는 국제 유가의 불안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지만 유엔 제재에 석유금수 조치가 제외돼 있어 국제 유가에 주는 충격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안보리 15개 이사국이 통과시킨 이란 제재 결의는 이란의 핵과 미사일 프로그램에 관계된 개인ㆍ단체ㆍ기관 28곳을 자산동결 대상에 추가시켰다. 자산동결 대상의 3분의1가량은 이란 혁명수비대와 관련된 곳으로 이란 국영 세파은행 등 13곳의 기관과 15명의 개인이 대상이다. 앞서 유엔 안보리는 지난해 12월 안보리 결의를 통해 이란 기업 10곳과 개인 12명을 자산동결 대상으로 결정했었다. 안보리 결의는 또 60일 안에 이란이 우라늄 농축활동을 중단하지 않으면 제재조치를 이행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제재 대상자의 여행 ▦대(對) 이란 무기판매 ▦이란 정부에 대한 신규 금융원조와 대출 등을 자발적으로 규제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결의는 이와 함께 국제원자력기구(IAEA)에 결의 채택 60일 이내에 이란이 우라늄 농축활동을 중지했는지를 보고하도록 하고 이란이 농축활동 중단에 나서지 않을 경우 추가적인 제재를 가할 수 있음을 경고하고 있다. 이번 제재 결의는 이란의 교역과 금융거래를 고립시켜 경제에 영향을 미칠 전망이지만 석유 산업은 제재 대상에 포함시키지 않았다. 유엔 결의에 대해 마뉴세르 모타키 이란 외무부 장관은 이날 안보리에서 “압력과 협박으로 이란의 정책을 바꿀 수 없을 것”이라며 핵 활동 중단 거부 의사를 분명히 했다. 한편 국제 유가는 지난주 말(23일 기준) 유엔 안보리가 이란에 대한 추가 제재 결의안 채택으로 중동 리스크가 높아질 것이라는 우려로 1%가량 급등했다. 이날 뉴욕상품거래소에서 서부 텍사스산 중질유(WTI) 가격은 59센트(0.9%) 오른 배럴당 62.28달러를 기록했고 북해산 브렌트유도 64센트(1%) 오른 63.68달러에 장을 마감했다. 이란은 석유수출국기구(OPEC) 회원국 가운데 2번째로 산유량이 많은 국가이다.

관련기사



서정명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