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읽기.셈 못하는 부진아" 한반에 5명꼴

따라서 읽기, 쓰기, 셈하기 등을 깨치지 못한, 소위 기초학력(3R'S)이 없는 학생은 전국적으로 중학생 4만5,000명, 고교생 1만8,000명이며 기초학습 기능은 습득했지만 나머지 교과학습을 따라잡지 못하는 학습부진아는 초중고생 합쳐 20만명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됐다.이같은 사실은 충남대 주삼환 교수팀이 교육부 정책연구 의뢰를 받아 전국 881명의 교사를 상대로 기초학력 부진아의 실태와 지도대책 등을 설문조사해 20일 내놓은 「교과별·교사별 기초학력 책임지도제 시행방안」 보고서에서 나타났다. 이에 따르면 학급당 기초학력 부진아의 숫자를 묻는 질문에 초등학교는 「5명 내외」라고 답한 교사가 49.3%로 가장 많았고 1∼2명(46.6%), 7∼8명(2.7%), 10명 안팎(1.4%) 등이 뒤를 이었다. 중학교도 5명 내외(41.2%), 1∼2명(39.1%), 7∼8명(11.8%), 10명 안팎(7.9%) 등으로 같은 순이었으나, 「7∼8명」이나 「10명 안팎」의 비율이 초등학교보다 높아 일단 수업결손이 생기면 상급학교에서도 계속 누적됨을 보였다. 기초학력 부진원인으로 교사들은 지적능력결함을 17.1%로 가장 많이 꼽았으나 집중력 부족(15.2%), 정서불안(14.8%), 학부모 관심부족(14.7%), 하급단계에서의 학습부족 누적(10.2%) 등도 주요 요인으로 지적, 꾸준한 관심과 지도로 학습부진 문제를 상당부분 해소할 수 있음을 뒷받침했다. 최석영기자SYCHOI@SED.CO.KR

관련기사



최석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