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파업 접어라" 들끓는 여론

국민노총 이례적 성명 … 피해중기단체 '정상화' 촉구

조계종도 '긴급 대화' 호소

철도노조 파업이 장기화되면서 재계는 물론 같은 노조 진영에서도 파업 중단 목소리가 나오는 등 비난 여론이 들끓고 있다.

이번 파업으로 가장 큰 타격을 입고 있는 레미콘·아스콘·콘크리트·원심력콘크리트협동조합 등으로 구성된 '철도노조 불법파업 관련 피해 중소기업단체'는 27일 서울 조계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철도노조는 즉각 파업을 중단하고 업무에 복귀해 물류운송을 정상화하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화물열차 운행률이 평소의 30%대로 떨어져 물류운송 차질과 대체운송에 따른 비용증가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원료공급이 제때 이뤄지지 않아 제품생산에도 차질을 빚고 있다"고 말했다. 업계에 따르면 11개 콘크리트공업 회원조합 중 대전세종충남조합·경기조합·전북조합 등 3개 조합이 철도로 시멘트를 운송하는 원자재 수급에 곤란을 겪고 있다.


단체는 "지금부터 1주일 이내에 정상화하지 않으면 공장생산 가동 중지, 납기 내 납품 불이행 등이 발생해 도산위기로 이어질 수 있다"며 "나머지 8개 조합도 파업이 길어지면 같은 어려움에 직면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관련기사



이어 "장시간 근로와 저임금에도 묵묵히 일하는 대부분 중소기업 처지에서 노조원 평균 연봉이 5,700만원에 달하는 철도노조의 불법파업은 기득권 유지를 위한 구태로 여겨진다"고 비판했다. 또 이들은 "정부는 중소기업의 경영손실을 일으키는 공기업 불법파업이 근절되도록 단호히 조치해달라"고 요구했다.

한국노총·민주노총과 더불어 국내 3대 노총 가운데 하나인 국민노총도 이날 성명서를 통해 "철도노조는 조합원과 국민의 입장에서 파업을 접어야 하고 정부는 단위 사업장 노사 문제에 직접 개입을 중단해야 한다"고 밝혔다. 같은 노조 진영에서 철도파업 중단 목소리가 나온 것은 상당히 이례적이다. 이를 두고 철도노조 파업이 노조 내부에서조차 공감대를 얻지 못할 정도로 명분이 약한 것이 아니냐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이날 국민노총은 "사회적 문제에 대해 이해당사자 간의 대립과 충돌, 물리력에 의해 해결되는 사회는 이미 지났다"며 "노사정·국민 모두가 함께 다양한 입장에서 바라보고 고민하고 토론하는 상호신뢰를 기초로 하는 사회적 합의에 대한 훈련이 절실히 필요한 시기"라고 강조했다.

종교계도 파업 중단을 호소하며 중재안 마련에 나서고 있다. 불교 조계종 화쟁위원회 내 철도 문제해결을 위한 특별위원회는 이날 '노사정이 함께하는 긴급 대화를 제안한다'는 기자회견문을 통해 "정부는 수서발 KTX 법인 면허발급을 유보하고 노조는 파업을 잠정 중단하는 용단을 내려주시기를 바란다"고 호소했다. 수서발 KTX 법인 면허발급 유보를 전제로 파업 중단을 촉구하기는 이번이 처음이어서 조계종의 대안이 받아들여질지 귀추가 주목된다.


김홍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